
서울대학교. 서울신문 DB
29일 서울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서울대 이사회는 기존에 운영하던 ‘학·석사 연계과정’, ‘석·박사 통합과정’ 등 학위 연계 및 통합과정에 ‘학·석·박사 통합 연계과정’을 추가로 둘 수 있도록 학칙을 개정했다.
학·석사 연계과정은 학사 4년, 석사 2년으로 총 6년이 걸리는 과정을 학사 3.5년, 석사 1.5년으로 총 1년을 단축해 석사까지 딸 수 있도록 한 교육과정이다. 여기에 박사과정을 추가해 학·석사 연계과정과 석·박사 통합과정을 합쳐서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학·석·박사 통합 연계과정은 학사 4학기 이상 등록한 자에 한해 직전 학기 전체 성적 평점 3.3점 이상 또는 직전 2개 학기 평점 평균 3.5점 이상 맞은 학생을 대상으로 지도교수와 학과장의 추천이 있으면 지원할 수 있다. 필수 이수학점이나 서류 등은 단과대학별로 다르다.
현재 각 단과대학에서 학·석·박사 통합 연계과정 개설 여부를 논의하고 있으며, 개정된 학칙이 공포되는 대로 개설 신청을 받을 예정이다. 구체적인 일정은 도입을 결정한 단과대학 별로 다르다.
학·석·박사 통합 연계과정은 전국적인 추세다. 이미 부산대와 경북대 등에서는 학·석·박사 통합 연계과정을 운영 중이다. 국내 대학원 진학에 대한 유인책이 떨어지는 상황에서 해외 대학으로 진학하려는 학생들을 붙잡고, 우수한 인재를 자대학원에 모셔오려는 방편으로 풀이된다. 과정이 도입된다면 학사에서 박사까지 걸리는 기간이 최소 7년으로 단축될 것으로 보인다. 공부하고 싶은 학생 입장에서는 나름대로 체계적으로 훈련을 받을 수 있다는 점과 함께 학위 취득 기간을 줄이는 일석이조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서울대 관계자는 “학사부터 박사까지 연계하고 싶은 학생들을 위한 선택권 확대 차원에서 도입됐다”면서 “학점과 연구계획서 등에 대해 부담을 갖는 학생들이 이 과정을 통해서 조금 더 완화된 규정으로 수월하게 박사과정까지 진입할 수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