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재유행에 숨은 확진자 복병 의료진 “키트 두 줄 떠도 검사 거부” 자가격리·시선·비용 등 확진 부담 커져 전문가 “확진자 찾아 방역 정책 세워야”
철거 25일 만에 코로나19 재확산으로 25일 오후 재운영된 서울 중구 서울역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위해 대기하고 있다. 2022.07.25 박윤슬 기자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철거 25일 만에 코로나19 재확산으로 25일 오후 재운영된 서울 중구 서울역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위해 대기하고 있다. 2022.07.25 박윤슬 기자
코로나19 첫 확진자 이후 2년 반 만에 누적 확진자 수가 2000만명을 넘어선 가운데 증상이 있어도 검사를 피하는 ‘숨은 확진자’가 복병으로 떠올랐다.
서울 서대문구의 한 이비인후과 병원에 다니는 간호사 김모(51)씨는 3일 “하루에 100여명의 확진자를 진료하고 있는데 오미크론 유행 때와 달리 코로나19 증상이 있어도 신속항원검사를 받지 않겠다는 환자가 매일 1~2명씩 있다”면서 “환자 혼자서 한 자가검사키트에서 두 줄이 떠도 검사를 받지 않겠다는 환자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의료진은 검사를 권고만 할 뿐 강요할 수 없다보니 환자에게 약만 처방해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정부도 무증상자의 신속항원검사 비용 등이 검사를 기피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에 따라 2일부터 검사비를 지원하고 있지만 격리로 인해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는 자영업자 등이 적극적으로 검사에 응할 지는 미지수다.
자영업자 이모(60)씨는 최근 딸이 코로나19에 확진된 후 인후통 등 증상을 느꼈지만 병원을 찾지 않고 증상이 완화되기를 기다렸다고 했다. 이씨는 “코로나19 의심은 들었지만 딸의 확진 사실을 알고 난 뒤에는 이미 증상이 많이 완화된 상태라 감기약을 먹고 버텼다”면서 “지인의 확진 사례를 봐도 혼자 견디는 게 나을 것 같고 방역당국에 신고했다가 괜히 생업에만 지장이 있을 것 같았다”고 말했다.
취업준비생 이모(29)씨도 확진자와 함께 밥을 먹고 증상이 생겼지만 병원에 가지 않고 집에서 자체 격리를 했다. 그는 “코로나19가 3년째 유행하면서 초창기보다 익숙해진 측면도 있고 무엇보다 확진됐을 때 남의 시선이 더 무서웠다”면서 “취업 준비 중이라 스터디 모임이나 공부, 공채 일정 등에 지장이 갈까봐 모른 척 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천병철 고려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그간 정부 방역 정책의 큰 요소가 ‘3T’(검사·추적·치료)였는데 비용 등 검사에 대한 부담이 높아지며 숨은 확진자가 많아져 지역별·유형별 확산 상황을 파악하기 어려워졌다”면서 “올 겨울 재유행에 대비해 숨은 확진자를 찾고 지난 2년 간의 데이터를 분석해 과학적인 방역 정책을 다시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곽소영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