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서울신문이 20~30대 11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를 보면, ‘청년 탈모 치료비 지원 사업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48.7%로 집계됐다. ‘지원 사업은 필요하지만, 대상이나 지원 방법을 바꿔야 한다’(27.4%), ‘지원 사업이 필요 없다’(23.9%)는 답변도 절반 정도를 차지했다. 상대적으로 탈모 고민이 더 많은 남성 응답자는 전체 응답자 중 57%가 ‘지원 사업이 필요하다’고 답했지만, 여성 응답자는 36%만이 필요성에 공감했다.
지원 필요성에 공감한 청년들은 ‘조기 치료를 통해 탈모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47%)는 점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연 30만원 정도의 약값을 부모님에게 지원받는다는 대학생 양모(25)씨는 “소득이 없는 상황에서 혼자 약값을 부담했으면 부담이 컸을 것”이라며 “20대 초반부터 탈모가 시작됐고, 조기 치료가 중요한 만큼 지금까지도 약을 먹고 있다”고 말했다.
‘필요한 복지정책 중 하나’(37%)라는 의견과 ‘비싼 탈모 치료비를 감안하면 일정 수준의 지원이 필요하다’(16%)는 의견도 있었다. 김승현(28)씨는 “탈모는 숨기기보다 치료개념으로 접근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생활밀착형 정책으로 충분히 효용가치가 있다”고 말했다. 주기적으로 탈모약을 바르고 있는 임모(25)씨도 “탈모에 따른 스트레스를 생각하면 충분히 지원해줄 수 있는 영역이다. 심리상담을 지원해주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말했다.
탈모 치료 사업에 반대하는 청년들은 “다른 복지 관련 지원에 예산을 쓰는게 바람직하다”, “일상생활에 지장없는 비급여 항목에 대한 지원은 과도하다”, “특정 연령층만 대상으로 한 지원은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이유를 주로 꼽았다. 실제로 탈모를 겪지 않은 청년 중 지원 사업에 찬성하는 경우는 38%에 불과했다. 탈모증 진단을 받거나 탈모가 의심된다고 응답한 청년 중 지원 사업에 반대하거나 대상이나 방법을 바꿔야 한다고 답한 경우도 34%나 됐다. 최수빈(25)씨는 “차라리 청년들의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사업을 하는 게 나을 것”이라며 “탈모만 특별하게 취급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