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도청 전경. 경북도 제공
경북도는 최근 폭우와 산사태로 엄청난 피해가 난 것과 관련해 재난문자를 읍면동 단위로 발송하는 등 재난 대응체계를 대폭 개선하기로 했다고 26일 밝혔다.
.이에 따라 도는 재난 관련 부서와 민간 전문가 등으로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재난 예방, 대비, 대응, 복구 전반의 체계를 혁신하고 실천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우선 집중 호우와 태풍에 대비해 경보와 대피 시스템을 바꾼다는 것. 재난 문자는 읍면동 단위로 발송토록 세분화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시군이 보내는 ‘대피하라’는 식의 재난 문자가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에 따라 발송 주체를 읍면동으로 변경하고 마을별로 대피소 위치까지 구체적으로 안내하게 할 방침이다. 대피소도 새롭게 점검하고 지정한다.
현재 산림보호법에 따른 산사태 취약지역에서는 대부분 마을회관, 경로당 등을 대피소로 지정·운영 중이다.
하지만 이번 폭우와 산사태처럼 대규모 토석류가 마을을 통째로 삼켜버리는 상황에서는 오히려 대피소에서 대형 인명피해가 발생할 우려도 없지 않다. 이에 마을 전체를 대상으로 산사태 발생 때 토석류의 흐름을 시뮬레이션하고 가장 안전한 장소를 새로운 긴급대피소로 지정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재난 상황에서 민첩하게 대응하기 위해 도 재난안전실과 소방본부를 통합하는 방안도 정부와 협의해 조직개편에 나선다는 구상이다.
도는 농촌지역 산사태 및 급경사지 붕괴로 노인, 장애인, 외국인, 아동 등 재난 약자들이 대부분 피해를 보는 만큼 정부 등과 협의해 이들을 위한 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대피 관리체계를 만들기로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