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범기 전주시장은 지난 4월 전주 동고산성에서 왕의 궁전 프로젝트 추진 계획을 밝혔다. 전주시 제공
후백제에 대한 조사연구기관인 국립후백제역사문화센터 건립을 위한 유치전에 돌입하고, 각종 사업 재원확보를 뒷받침할 고도 지정에 속도를 내겠다는 계획이다.
전주시는 구도심~한옥마을 지역의 ‘왕의 궁’, 아중호수~승암산 지역의 ‘왕의 정원’, 덕진공원~건지산 지역의 ‘왕의 숲’ 등 3가지 테마 핵심사업과 9개의 연계사업, 27개의 세부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7일 밝혔다.
이를 위해 시는 기본구상 용역을 통해 왕의궁원 프로젝트의 개념과 구체적인 사업, 이에 따른 예산확보 전략 등을 마련했다.
전문가 릴레이 포럼 등을 통해 사업 구조화 등에 대한 의견도 수렴했다.
시는 현재 전주시정연구원과 왕의궁원 프로젝트의 용어 및 사업 등 전반에 대해 재검토하는 등 완성도를 높이는 마스터플랜 용역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시는 부서별 사업대상지 중복을 미리 방지하고, 전체 사업에 대한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하겠다는 것이다.
아울러 시는 왕의궁원의 초석을 다지기 위한 사업으로 후백제에 대한 조사연구기관인 국립후백제역사문화센터 건립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은 국가유산청 사업으로 올해 2억 원의 실시설계용역비가 반영돼 올해 ‘후백제역사문화센터 건립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용역’이 추진될 예정이다.
각종 행정절차를 거치면 오는 2030년 건립이 완료될 전망이다.
시는 왕의궁원 프로젝트 사업을 위해선 고도 지정에 따른 재원확보가 필수적인 만큼, 고도 지정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노은영 전주시 문화체육관광국장은 “치밀한 마스터플랜 수립으로 프로젝트의 완성도를 높이고 전주고도 지정으로 재원확보를 위해 노력하겠다”면서 “사업별로 추진 상황을 지속 점검해 왕의궁원 프로젝트의 추진율을 높여나가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