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시 확대’ 갈피 못 잡는 대학… 교육계 “날림도 이런 날림 없다”

‘정시 확대’ 갈피 못 잡는 대학… 교육계 “날림도 이런 날림 없다”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19-10-28 23:56
수정 2019-10-29 05: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21학년도 학종비율 40% 넘는 대학 9곳…“서울 상위권 대학 타깃” “최상위권 조정”

김승환 교육감 “교육 기득권 보호 정책”
전교조 등 69곳 “과거 주입식 수업 회귀”
“정시 확대해야” 국민 10명 중 6명 찬성
이미지 확대
홍남기(왼쪽)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8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원내대표의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지켜보며 대화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홍남기(왼쪽)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8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원내대표의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지켜보며 대화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의 대입제도 정시 비중 확대 방침의 파장이 나날이 확산되고 있다.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의 선발 비율이 과도하게 높은 서울 주요 대학이 정시 확대 대상이라는 청와대의 설명에도 실제 정시 확대가 가져올 대입의 변화를 쉽게 가늠하기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28일 교육계에 따르면 2021학년도 입시를 기준으로 학종 비율이 가장 높은 대학은 서울대(78.1%)다. 이어 서강대(51.4%), 성균관대(49.7%), 경희대(49.7%), 건국대(49.3%), 연세대(48.9%), 고려대(47.5%), 동국대(47.7%), 서울시립대(40.6%) 순으로, 학종 비율이 40%를 넘는 대학은 모두 9곳이다. 이 중 서울대는 2022학년도 정시 비율을 30.3%로 예고한 상태다. 서강대(33.2%), 건국대(34.4%) 등은 비교적 정시 비율이 높은 편이나 고려대(18.4%), 경희대(25.2%) 등은 ‘30% 룰’에 맞추기 위해 정시 비율을 5~10%포인트가량 높여야 한다.

정시 확대 대상에 대한 교육계의 분석은 엇갈린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는 “정시 비율을 30% 선에 맞춰 조금 늘린 서울 상위권 대학들이 타깃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한 교육계 관계자는 “서울대·연세대·고려대 등 최상위권 대학의 전형 비율을 소폭 조정하는 수준일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 방침에 대한 반발은 계속되고 있다.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회장을 맡고 있는 김승환 전북도교육감은 이날 전북교육청 확대간부회의에서 “문제 파악부터 잘못됐다”며 “시설 공사에 비유한다면 날림도 이런 날림이 없다”고 정부를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특히 “특정 지역, 특정 유형의 학교에 다니는 학생에게 유리한 조치”라고 반문하며 “현 정부는 교육 기득권 세력을 보호하는 정책을 내놓고 있다”고 꼬집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과 좋은교사운동, 사교육걱정없는세상 등 진보 성향의 69개 교육단체는 청와대 사랑채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수능 중심의 정시를 확대하면 주입·문제풀이식 수업을 하던 과거로 돌아가게 된다”면서 “공교육 정상화에 역행하는 정시 확대 방침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이날 한 여론조사에서는 국민 10명 중 6명이 정시 확대에 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CBS 의뢰로 지난 25일 전국 성인 50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대학 입시 전형에서 정시전형을 확대해야 한다’는 물음에 ‘찬성한다’는 응답은 63.3%, ‘반대한다’는 응답은 22.3%였다. 모름·무응답은 14.4%였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9-10-29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목소리
가수 아이유, 소녀시대 유리, 장범준 등 유명 연예인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대한 지지 행동이 드러나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목소리는 내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연예인도 국민이다. 그래서 이는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연예인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