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식물생장률 29%로 늘어”
북극해에 위치해 1년 내내 얼음으로 덮여 있는 ‘그린란드’가 지금처럼 지구온난화가 계속될 경우 20년 내에 이름 그대로 ‘푸른 땅’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 대학천문학연구협회(AURA)와 항공우주국(NASA) 고다드우주센터 공동연구팀은 1984년부터 2012년까지의 북극 지역 인공위성 사진을 분석한 결과 북극권의 온도가 꾸준히 올라 그린란드, 서부 알래스카, 캐나다 북부해안, 퀘벡 툰드라 지대가 빠르게 녹색지대로 바뀌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우주 관측 및 우주 환경 분야 국제학술지 ‘리모트 센싱 오브 인바이러먼트’ 최신호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나사에서 운영하는 지구 관측 위성 ‘랜드샛’이 지난 28년간 모은 8만 7000장의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 캐나다 퀘벡주 북쪽과 북극권에 인접한 지역들이 녹색으로 바뀌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가시광선 영역과 근적외선 영역의 망원경을 갖추고 있는 랜드샛은 산림과 녹지분포 등을 연구하는 데 활용되는 관측용 인공위성이다.
특히 연구팀은 얼음으로 뒤덮여 있던 동토층이 드러나면서 해당 지역에서 식물의 생장률이 최대 29.4%까지 늘어난 것을 밝혀 냈다. 현재와 같은 지구온난화가 이어질 경우 20년 이내에 북극권의 얼음이 완전히 사라질 가능성도 있다고 예측하기도 했다.
나사 생태과학연구소 제프리 마섹 박사는 “캐나다 등 북극권과 가까운 국가들은 기후가 온화해지고 농작물 재배의 북방한계선이 올라가는 긍정적 효과도 일부 얻게 된다”고 말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2016-06-08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