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6일 서울의 미세먼지 농도는 106㎛/㎥까지 올랐습니다. 정부와 언론에서도 연일 미세먼지의 심각성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이제 아침에 일어나 스마트폰의 ‘대기정보 앱’으로 공기 상태를 확인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불과 일주일 전까지만 해도 미세먼지 ‘나쁨’ 단계이던 공기가 6월 들어 갑자기 깨끗해졌습니다. 실제로 7일 서울 평균 미세먼지(PM10)의 농도도 31㎛/㎥에 머물고 있고 6월 평균도 39㎛/㎥ 수준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 기준치가 20㎍/㎥인 것을 보면 이 정도도 쾌적한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4~5월과 비교하면 깨끗해진 것은 사실입니다.
●대기흐름 원활해져 국내서 빠져나가
미세먼지 원흉으로 꼽힌 경유차들이 모두 운행을 멈춘 것도 아니고, 전국의 가정과 음식점에서 고등어나 삼겹살을 구워 먹지 않는 것도 아닐 텐데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요.
국내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주요 원인은 중국발 미세먼지와 국내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그리고 한반도 내 대기의 정체 등 크게 3가지입니다. 전문가들은 이들 중 하나만 없어져도 우리나라 공기는 맑아진다고 이야기합니다.
●中으로 바람 불어 한반도 유입 안 돼
실제로 기상청과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6월 들어 한반도에 정체된 대기의 흐름이 원활해지면서 미세먼지가 우리나라 바깥으로 빠져나가고, 바람이 중국 쪽으로 불면서 중국발 미세먼지가 우리나라로 건너오지 못하고 있습니다.
맑은 공기를 원한다고 항상 하늘만 쳐다보고 있을 수는 없습니다. 미세먼지는 인위적 요인들로 발생하는 만큼 다양한 조처로 충분히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근본 대책·국민 참여 필요한 때
이 때문에 정부가 지난 3일 발표한 ‘미세먼지 관리 특별대책’에 이목이 집중됐습니다.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망라했다고 했는데 근본적인 해결책은 눈에 띄지 않습니다. 특히 과학기술적 해결책은 많이 아쉽습니다. 경유차만 잡을 것이 아니라 미세먼지 발생 원인과 구성, 이동 경로 등을 정확히 파악해 종합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겁니다. 미세먼지 같은 환경문제는 장기적이고 대증적인 정책과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 없이는 개선하기 쉽지 않다는 것이 전문가들 의견입니다. 정부가 이번 정책을 긴 호흡으로 끌고 갈 수 있을지, 그리고 경유차 조기 폐차 같은 정책만으로 국민들의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을지 의문만 남습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불과 일주일 전까지만 해도 미세먼지 ‘나쁨’ 단계이던 공기가 6월 들어 갑자기 깨끗해졌습니다. 실제로 7일 서울 평균 미세먼지(PM10)의 농도도 31㎛/㎥에 머물고 있고 6월 평균도 39㎛/㎥ 수준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 기준치가 20㎍/㎥인 것을 보면 이 정도도 쾌적한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4~5월과 비교하면 깨끗해진 것은 사실입니다.
●대기흐름 원활해져 국내서 빠져나가
미세먼지 원흉으로 꼽힌 경유차들이 모두 운행을 멈춘 것도 아니고, 전국의 가정과 음식점에서 고등어나 삼겹살을 구워 먹지 않는 것도 아닐 텐데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요.
국내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주요 원인은 중국발 미세먼지와 국내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그리고 한반도 내 대기의 정체 등 크게 3가지입니다. 전문가들은 이들 중 하나만 없어져도 우리나라 공기는 맑아진다고 이야기합니다.
●中으로 바람 불어 한반도 유입 안 돼
실제로 기상청과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6월 들어 한반도에 정체된 대기의 흐름이 원활해지면서 미세먼지가 우리나라 바깥으로 빠져나가고, 바람이 중국 쪽으로 불면서 중국발 미세먼지가 우리나라로 건너오지 못하고 있습니다.
맑은 공기를 원한다고 항상 하늘만 쳐다보고 있을 수는 없습니다. 미세먼지는 인위적 요인들로 발생하는 만큼 다양한 조처로 충분히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근본 대책·국민 참여 필요한 때
이 때문에 정부가 지난 3일 발표한 ‘미세먼지 관리 특별대책’에 이목이 집중됐습니다.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망라했다고 했는데 근본적인 해결책은 눈에 띄지 않습니다. 특히 과학기술적 해결책은 많이 아쉽습니다. 경유차만 잡을 것이 아니라 미세먼지 발생 원인과 구성, 이동 경로 등을 정확히 파악해 종합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겁니다. 미세먼지 같은 환경문제는 장기적이고 대증적인 정책과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 없이는 개선하기 쉽지 않다는 것이 전문가들 의견입니다. 정부가 이번 정책을 긴 호흡으로 끌고 갈 수 있을지, 그리고 경유차 조기 폐차 같은 정책만으로 국민들의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을지 의문만 남습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2016-06-08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