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 야생생물(1급)이자 천연기념물 제218호인 ‘장수하늘소’가 경기 포천 광릉숲에서 6년 연속 확인됐다.
이미지 확대
멸종위기 야생생물(1급)이자 천연기념물 제218호인 ‘장수하늘소’가 경기 포천 광릉숲에서 6년 연속 확인됐다. 국립수목원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멸종위기 야생생물(1급)이자 천연기념물 제218호인 ‘장수하늘소’가 경기 포천 광릉숲에서 6년 연속 확인됐다. 국립수목원 제공
2일 산림청 국립수목원에 따르면 1일 오전 광릉숲에서 장수하늘소 수컷 한 마리를 발견했다. 장수하늘소는 몸 길이가 98㎜로 배와 뒷다리 등이 사라진 상태였는 데 조류 등의 공격을 받은 것으로 추정했다.
장수하늘소는 유일하게 동북아시아에 분포하는, 살아있는 화석종이자 한반도가 속한 구북구지역에서 가장 큰 딱정벌레 일종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광릉숲이 유일한 서식지다. 광릉숲에서는 2014년 수컷 1마리가 첫 발견된 후 매년 암수 1∼3마리씩이 발견되고 있지만 개체수가 적고 밀도가 낮다. 국립수목원은 복원을 위해 광릉숲을 비롯해 서식 가능지역에서 모니터링과 생물학적 특성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또 2017년 확보한 장수하늘소 알(16개)을 활용해 지난해 성충 수컷 2마리를 방사했고 올해 7월 29일에는 암컷 3마리를 추가 방사했다.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임종옥 박사는 “사육중인 광릉숲산 개체들의 안정적 유지 및 방사 개체의 서식지 적응을 관찰하고 있다”며 “장수하늘소를 포함한 유용한 산림곤충 자원화 및 산업화를 위해 전문 사육시설 등 체계적인 연구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