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추가 개방, 분석
낙동강 하굿둑 수문을 단기 개방해도 지하수에 미치는 염분 영향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환경부는 29일 국토교통부·해양수산부·부산시·한국수자원공사와 함께 시행한 ‘낙동강 하굿둑 단기 개방 실증 실험’ 결과 하굿둑 상류에 있는 관정에서 염분 변화가 관측됐지만 평상시 변화 범위 수준이었다고 밝혔다. 다만 상류 4개 조사지점 최저층의 탁도는 감소했다. 실험은 낙동강 하구의 바닷물과 민물이 섞이는 ‘기수역’ 생태계 복원을 위한 것으로
32년만인 올해 6월 6일과 9월 17일 두 차례 수문을 개방한 낙동강 하굿둑. 환경부는 기수역 생태계 복원을 위해 염분의 낙동강 침투 양상과 수질·지하수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했다. 환경부 제공
개방 시간을 51분으로 늘린 2차 실험에서는 바닷물 101만t이 낙동강으로 유입됐다. 염분은 강 최저층 기준으로 상류 8.8㎞까지 침투했고, 염분 농도는 주변보다 2psu 증가했다.
하굿둑 주변 지역 지하수의 염분에서는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하굿둑 상류 약 25㎞ 범위에 있는 관측정 52곳 중 5개 관정에서 염분 변화가 관측됐지만 평상시 변화 수준이어서 수문 개방과 관련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파악했다. 수문 개방에 따른 낙동강 수온, 용존 산소량, 산성도, 퇴적물 구성 등도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하굿둑 상류 500m·1㎞·2㎞·3㎞ 등 4개 지점 최저층에서 관측한 탁도는 두드러지게 감소했다. 특히 2차 수문 개방 후(9월 18일) 탁도는 개방 전(9월 17일)보다 47% 감소했다. 탁도가 낮은 바닷물이 섞여 하천 상류의 탁도를 낮춘 것이다.
환경부 등은 내년 상반기 개방 시간이나 폭을 확대해 실증실험을 추가 실시하고 개방에 따른 농업·수산업·취수원·지하수 등 분야별 염분 영향에 대한 검토와 피해대책 등을 마련할 예정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낙동강 기수역 조성방안은 낙동강유역 물관리위원회에서 논의 확정할 예정”이라며 “금강에 대한 개방도 지자체 등과 논의를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