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로 본 예방·관리법
이정준(54)씨는 5년 전 내시경검사에서 위축성 위염 진단을 받았다. 이후 의료진의 권유에 따라 해마다 내시경검사를 받았다. 그러다 최근 내시경검사에서 위암 진단을 받았다. 위축성 위염 진단을 받은 게 5년 전이고, 그 전에는 위투시조영술 검사만 받았던 터라 위축성 위염이 언제부터 시작됐는지는 알 수 없었다.이씨처럼 위축성 위염이 있는 경우라면 정도의 차이는 있겠으나 대부분 장상피 화생을 동반하고 있다고 봐야 한다. 따라서 이런 상황이라면 내시경검사를 통한 조직 생검으로 위축성 위염의 정도나 장상피 화생의 진행 상태를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다. 정훈용 교수는 “이 환자의 경우 혈청검사에서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됐다는 소견이 있었다. 따라서 오래전에 위축성 변화가 시작됐을 것으로 판단된다.”는 견해를 밝혔다.
한 사람에게서 위축성 위염과 장상피 화생이 함께 진행되는 경우 사실 대처 방안이 많지 않다. 우선 조직생검과 혈청검사 등을 통해 위축성 위염과 장상피 화생의 정도를 파악한 뒤 정기적인 내시경검사 주기를 설정해야 한다. 정 교수는 “초·중기 정도라면 매2년마다 시행하는 국가암검진사업만으로도 충분하겠지만, 정도가 심하다면 매년 내시경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 교수는 “장상피 화생은 주기적인 내시경검사를 통해 예방·관리하는 것이 최선”이라며 “이와 함께 채소와 과일을 많이 먹는 등 건강한 식사습관을 생활화하면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2-05-21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