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후 6개월 영아가 말하는 사람의 얼굴에서 시선을 돌리면 나중에 자폐아 진단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예일 대학 의과대학의 프레더릭 쉬크 박사가 생후 6개월 영아 99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실험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그의 연구팀은 표정없는 얼굴, 웃는 얼굴, 말하는 얼굴을 비디오로 보여주면서 안구추적 기술을 이용, 영아들의 안구 움직임을 관찰하고 이것이 자폐증과 연관이 있는지를 추적조사했다.
그 결과 나중 3살이 되었을 때 자폐아 진단을 받은 아이는 생후 6개월 때 다른 아이들에 비해 어떤 얼굴이든 잘 쳐다보지 않고 특히 말하고 있는 사람의 눈과 입으로부터 시선을 돌린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는 말이 사람의 얼굴 인식을 방해한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쉬크 박사는 설명했다.
이러한 행동은 다른 사람과의 소통과 사회성 발달을 해칠 수 있다고 그는 지적했다.
이 연구결과는 자폐증과 관련된 뇌의 변화가 전통적으로 자폐증 진단이 이루어지는 시기인 2-3세보다 훨씬 일찍 나타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생물정신의학’(Biological Psychiatry) 2월호에 실렸다.
연합뉴스
미국 예일 대학 의과대학의 프레더릭 쉬크 박사가 생후 6개월 영아 99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실험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그의 연구팀은 표정없는 얼굴, 웃는 얼굴, 말하는 얼굴을 비디오로 보여주면서 안구추적 기술을 이용, 영아들의 안구 움직임을 관찰하고 이것이 자폐증과 연관이 있는지를 추적조사했다.
그 결과 나중 3살이 되었을 때 자폐아 진단을 받은 아이는 생후 6개월 때 다른 아이들에 비해 어떤 얼굴이든 잘 쳐다보지 않고 특히 말하고 있는 사람의 눈과 입으로부터 시선을 돌린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는 말이 사람의 얼굴 인식을 방해한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쉬크 박사는 설명했다.
이러한 행동은 다른 사람과의 소통과 사회성 발달을 해칠 수 있다고 그는 지적했다.
이 연구결과는 자폐증과 관련된 뇌의 변화가 전통적으로 자폐증 진단이 이루어지는 시기인 2-3세보다 훨씬 일찍 나타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생물정신의학’(Biological Psychiatry) 2월호에 실렸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