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배구 여자부 3일 개막
3일 개막하는 프로배구 V리그 여자부는 한 치 앞을 가늠할 수 없다. 어느 해보다 평준화됐다. 그만큼 변수가 많다는 뜻도 된다.
남자부보다 더 많이 외국인의 기량에 좌우되는 것이 여자부의 판세다. 지난해 ‘여자 가빈’으로 불린 몬타뇨의 활약을 앞세워 KGC인삼공사는 정규리그 만년 2위의 설움을 딛고 정규 시즌과 챔피언결정전에서 모두 우승했다. 결국 여자부도 잘 지은 용병 농사가 한 해 성적을 좌우했다는 얘기인데 재미있게도 올해는 한국 배구를 경험한 선수와 그렇지 않은 선수로 나뉜다.
‘유경험자’ 중 가장 눈길이 가는 선수는 2008~09시즌 GS칼텍스에서 데라크루즈란 이름으로 뛰면서 정규리그 1위를 견인했던 베띠다. 당시 트리플크라운(서브에이스·블로킹·후위득점 각 3개)을 네 차례 기록하며 정규리그 공격상과 최우수선수(MVP)를 휩쓴 베띠가 3년 전의 위력을 되찾을지 관심을 끈다. 지난 시즌 도중 용병을 교체하는 등 불안한 모습을 보이다 2년 연속 꼴찌에 머무른 GS칼텍스는 올해 외국인의 화력과 토종 거포 한송이, 전체 드래프트 1순위로 뽑힌 이소영, 노련한 세터 이숙자의 시너지 효과로 우승도 노려볼 수 있다는 기대를 품고 있다. 지난해 한국 코트를 경험한 IBK기업은행의 알레시아도 우위에 있다. 반면 한국 무대가 처음인 드라간(인삼공사), 니콜(도로공사), 야나(현대건설), 휘트니(흥국생명)는 아직 실력이 검증되지 않았다. ‘몰빵형’인 한국 배구에 적응을 잘할지도 미지수다.
런던올림픽 4강 신화를 일군 멤버들의 활약도 재미있는 관전 포인트 중 하나. 거포 김연경(24)은 터키 페네르바체에서 뛰고 있지만 나머지 멤버들은 각 팀에 골고루 포진해 있다. 도로공사에는 리베로 김해란, 현대건설에는 황연주와 양효진, 기업은행에는 김희진, 흥국생명에는 김사니, GS칼텍스에는 한송이와 정대영·이숙자가 있다. 유일하게 올림픽 멤버가 없는 팀은 인삼공사. 한유미가 결혼 발표와 함께 은퇴했다. 사실 인삼공사는 한유미를 포함해 장소연·김세영 등 주축들이 대거 은퇴하면서 선수층이 얇아졌다. 이 때문에 시즌 초반 고전하지 않겠느냐는 예상이 많다.
여자부는 3일 인삼공사-현대건설 대결로 서막을 연다. 정규리그 2위와 3위가 겨루는 플레이오프(PO)는 내년 3월 16일부터 3전 2선승제로, PO 승자와 정규 1위가 맞붙는 챔피언결정전은 같은 해 3월 23일부터 5전 3선승제로 치러진다.
김민희기자 haru@seoul.co.kr
2012-11-03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