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가 금메달을 확신했다. 하지만 안심할 수 없었다. 혹여 착지가 불안하지 않을까 걱정이었다. 한국 체조 도마 1인자 양학선(18·광주체고)은 심호흡을 한번 하고 출발선에 섰다. 전력으로 달려나가 구름판을 힘차게 밟았다. 옆으로 세 바퀴를 비틀었다. 두 발이 거의 떨어지지 않았을 정도로 착지는 완벽했다. 두 차례 시도 모두 성공이었다.
이미지 확대
양학선 금메달 17일 중국 광저우 아시안게임타운 체육관에서 열린 제16회 광저우 아시안게임 남자 기계체조 도마에서 금메달을 딴 양학선이 시상대 위에서 꽃다발을 흔들고 있다. 광저우=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양학선 금메달 17일 중국 광저우 아시안게임타운 체육관에서 열린 제16회 광저우 아시안게임 남자 기계체조 도마에서 금메달을 딴 양학선이 시상대 위에서 꽃다발을 흔들고 있다. 광저우=연합뉴스
조정동 감독과 김동화 코치는 얼싸안고 금메달을 확신했다. 전광판의 점수는 1, 2차 평균 16.400점. 금메달이었다. 2위 펑저(15.850점·중국)와는 0.5점이 넘게 차이가 날 정도로 압도적이었다. 양학선은 두 팔을 번쩍 들어올리며 환하게 웃었다.
양학선은 항상 착지가 불안했다. 아시안게임을 두 달 앞둔 지난 9월 4일 문화체육관광부장관기 대회에서는 발목 부상까지 당했다. 마루경기 도중 착지를 하다 발목이 먼저 떨어진 것. 인대가 늘어났다. 일주일 동안 연습을 쉬어야 했다. 대회가 다가올수록 발목 부상이 재발할까 염려했지만 다행히 컨디션은 좋았다. 대회 2연패를 노리던 리세광(25·북한)이 나이 조작 파문으로 북한이 안 나오는 점도 불행 중 다행이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