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 5번째 ‘따로 입장’

남북한, 5번째 ‘따로 입장’

입력 2011-01-31 00:00
수정 2011-01-31 05: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제7회 아스타나-알마티 동계아시안게임 개막식에서도 남한과 북한은 함께 손을 맞잡는 감동적인 장면을 보여주지 못했다.

30일 저녁 아스타나 실내축구장에서 열린 대회 개막식에 참석한 한국과 북한 선수단은 식전 행사를 마치고 28개 참가국 중 각각 10번째와 4번째로 경기장에 들어왔다.

한국은 아이스하키의 박우상이 기수로 태극기를 높이 들고 앞장섰고, 이에 앞서 북한도 14명의 조촐한 선수단이 검은색 겉옷에 빨간 바지를 입고 인공기와 국가 이름이 새겨진 팻말을 앞세워 행진해 따로 단상에 줄지어 앉아 행사를 지켜봤다.

남북은 2000년 시드니올림픽 개막식에서 공동 입장한 것을 시작으로 2007년까지 국제 종합대회에서 9번이나 연속으로 평화와 화합의 행진을 벌여 전 세계에 감동적인 평화의 메시지를 던졌다.

하지만 바로 4년 전 창춘 동계아시안게임에서 남한의 오재은(여자 알파인스키)과 북한의 리금성(남자 아이스하키)이 한반도기를 맞잡고 들어온 것이 동시 입장의 마지막 기억이 됐다.

베이징올림픽 때 남북관계 경색으로 체육회담이 무산된 것을 시작으로 2009년 홍콩 동아시안게임과 지난해 밴쿠버 동계올림픽, 광저우 아시안게임에 이어 이번 대회까지 5회 연속으로 남북은 오히려 ‘따로 입장’이 더 익숙해져 버렸다.



●기계 결함.조작 미숙은 ‘옥에 티’

이번 개막식은 카자흐스탄 역사상 가장 성대한 행사로 치러졌지만, 기계 결함과 조작 미숙으로 생긴 ‘옥에 티’도 눈에 띄었다.

오후 10시(한국시간) 행사가 시작되면서 실내축구장 중앙 무대 바닥은 거대한 스크린으로 아름다운 무늬를 그려냈지만, 국기게양대 근처 바닥 스크린의 8분의 1 정도가 아예 꺼지거나 잡음 신호만 내보낸 채 행사를 시작했다.

공연이 진행되는 동안 부랴부랴 기술자가 구석에 달라붙어 조금씩 문제를 해결해 나갔지만, 무대는 조수미가 막바지 공연을 펼치기 직전에야 전체가 완벽하게 가동됐다.

또 선수단 입장 행사에서 일본 이후 한국 선수단이 입장하는 순간, 장내 전광판에는 요르단의 국기가 잠시 비쳐 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영문 알파벳 순서에 따르면 요르단은 한국에 앞서 입장해야 하지만, 이번 대회 참가한 유일한 선수가 알마티에서 열리는 스키 종목에만 출전해 개막식에는 참석하지 못했다.



●로게 IOC 위원장 등 주요 인사들도 “개막 축하”

이날 열린 개막식에는 자크 로게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을 비롯한 국제 스포츠계의 ‘거물’들이 대거 참석해 처음으로 동아시아를 벗어나 열린 아시안게임에 축하 인사를 전했다.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의 셰이크 아흐마드 알 파하드 알 사바 의장을 비롯해 파이잘 빈 알-후세인 요르단 왕자, 아부다비의 셰이크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왕자 등 각계 거물들이 대거 참석했고, 카자흐스탄에서도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대통령이 직접 나와 감사를 전했다.

한국에서도 정병국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비롯해 박용성 대한체육회장과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 인사들이 개막식에 참석해 홍보전을 계속했다.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서울시의회 김동욱 의원(국민의힘, 강남5)의 지속적인 관심과 예산 확보 노력에 힘입어, ‘개포택지’를 포함한 노후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서울시는 지난 5월 ‘택지개발지구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 용역을 착수했으며, 6월에는 착수보고회를 통해 과업 방향과 주요 과제를 공유했다. 이번 용역에는 개포택지를 포함한 총 10개 택지지역이 대상에 포함되며, 도시공간본부가 총 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내년 2월까지 수행할 예정이다. 해당 용역은 지역별 기반시설 현황, 용도지역, 주택 노후도 등 실태를 조사하고 문제점을 분석해, 택지개발 당시 계획된 구조와 현재의 주거 수요 간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는 합리적 도시관리 기준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김 의원은 “개포택지는 준공 이후 수십 년이 지난 단독주택지가 밀집해 있음에도, 도시계획적 관리는 사실상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주민들이 주차, 도로, 주거환경 등의 문제로 불편을 겪고 있다”며, “이번 용역을 계기로 개포택지의 여건을 반영한 실효성 있는 도시관리방안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올해 9월까지 기초조사와 분석을 완료하고, 내년 2월에 최종 용역 결과가 나올 예
thumbnail -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아스타나=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