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억 1명 vs 2700만원 20%… KBO 빛과 그늘

25억 1명 vs 2700만원 20%… KBO 빛과 그늘

김민수 기자
입력 2017-02-09 22:38
수정 2017-02-09 23: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올해 프로야구 선수·연봉 현황

1군 평균 연봉 2억 3987만원
억대 연봉 158명 ‘역대 최다’
이미지 확대
올해 KBO리그 1군 선수의 평균 연봉은 역대 최고치인 2억 3987만원으로 나타났다.

KBO는 2017시즌 등록 선수의 인원, 연봉 등 현황을 9일 발표했다.

10개 구단이 지난달 말 현재 등록한 총 선수단은 감독 10명, 코치 226명, 선수 614명(신인 56명, 외국인 28명 포함) 등 모두 850명이다. 선수 중 투수가 295명으로 전체의 절반(48%)을 차지했다.

선수 530명(신인, 외인 제외)의 연봉 총액은 735억 8000만원으로 평균은 1억 3883만원이다. 지난해 평균보다 9.7% 올랐다. 1군만 운영하던 프로 원년(1982년) 평균은 1215만원이었다.

외국인을 빼고도 1억원 이상 연봉 선수는 역대 최다인 158명이다. 지난해보다 10명이 많다. 억대 연봉자 중 15억원 이상은 4명, 10억원 이상은 11명이다.

하지만 선수 절반에 가까운 301명의 연봉이 5000만원을 밑돌아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최저연봉자(2700만원)는 신인 포함하면 5명 중 1명꼴인 122명(19.8%)이다. 팀으로는 한화(1억 8430만원)가 2년 연속 평균 연봉 1위다. 1억원이 안 되는 구단은 넥센(9613만원)과 kt(7347만원)이다.

1군(외국인을 제외한 구단별 연봉 상위 27명) 평균 연봉은 2억 3987만원으로 집계됐다. 첫 2억원을 돌파한 지난해(2억 1620만원)보다 10.9%나 높아졌다. 이 역시 한화가 3억 4159만원으로 가장 많다. 6년 만에 KBO리그에 복귀한 이대호(롯데)는 ‘연봉킹’(25억원)에 등극했다. 국내 프로스포츠를 통틀어서도 최고다. 원년 최고 연봉자(2400만원) 박철순(OB)에 견줘 35년 만에 104배나 뛰었다. 한화 김태균(16억원), KIA 양현종·최형우(이상 15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 신인왕인 넥센 투수 신재영은 2700만원에서 1억 1000만원으로 치솟아 올해 가장 높은 연봉 인상률(307.4%)을 찍었다. 외국인으로는 지난 시즌 최우수선수(MVP) 더스틴 니퍼트(두산)가 210만 달러로 역대 외인 최고치를 작성했다.

이울러 삼성의 고졸 루키 김성윤은 리그 최단신 기록을 썼다. 163㎝인 그는 최장신인 두산 투수 장민익(207㎝)보다 44㎝나 작다. 종전 최단신(165㎝)이었던 김선빈(KIA)의 기록도 8년 만에 깨졌다.

김성윤은 최경량(62㎏) 선수로도 이름을 올렸다. 최중량 선수는 130㎏의 최준석(롯데), 백민규(두산)로 김성윤보다 68㎏이나 무겁다. 130㎏은 2011년 이대호(롯데), 2014년 최준석의 기록과 타이다. 선수들의 평균 키는 183㎝, 몸무게는 87㎏이다. 원년 키(176.5㎝), 몸무게(73.9㎏)에 견줘 6.5㎝와 13.1㎏이 증가했다.

김민수 선임기자 kimms@seoul.co.kr
2017-02-10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