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상? 그냥 들입다 뛰면 되는 거 아니냐?”라고 말한다면 육상을 잘 모르고 하는 소리다. 가장 원초적인 종목이기 때문에 오히려 과학적 원리들이 그대로 들어맞는다.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 조직위원회는 22일 100m 달리기와 허들 종목에서 숨어 있는 과학적 원리와 이에 따른 규칙을 소개했다.
●볼트 0.146초·파월 0.134초
육상에서 출발반응속도가 0.1초 이하로 나오는 경우 부정출발이 선언된다. 0.1초는 인간이 소리를 듣고 몸을 움직일 수 있는 이론적인 한계다. 즉, 어떤 선수가 0.1초도 안 돼 출발했다면 이는 스타트 총성을 듣고 움직인 것이 아니라 예측을 하고 출발했다는 뜻으로 보는 것이다. 이번 대회에서는 1번만 부정 출발해도 실격 처리된다.
‘인간 번개’ 우사인 볼트(25·자메이카)의 가장 큰 약점이 느린 스타트이지만 세계 최고로 군림할 수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196㎝의 큰 키와 긴 다리를 가진 볼트는 신체구조상 아무래도 스타트에 불리하다. 실제로 2009년 베를린 세계육상선수권대회 남자 100m 결승에서 세계기록(9초 58)을 세울 당시 볼트의 출발반응속도는 0.146초로 전체 8명 중 네 번째에 불과했다. 0.134초를 기록한 아사파 파월(29·자메이카)이나 0.144초의 타이슨 게이(29·미국) 등 경쟁자들에 뒤졌다.
가장 빨랐던 선수는 리처드 톰슨(26·트리니다드토바고)으로 0.119초였다. 볼트의 이 기록은 그나마 2008년 베이징올림픽에서 우승할 때(0.165초)보다 훨씬 좋아진 것이다.
그러나 볼트를 포함해 다른 선수들이 아무리 노력한다고 해도 출발반응속도를 0.1초 아래로는 줄일 수 없다. 반칙이기 때문이다. 볼트에게는 그나마 다행인 것.
다른 종목과 비교해 보자. ‘마린보이’ 박태환(22·단국대)은 세계 최고 수준의 출발반응속도로 유명하지만 0.6초 중반대에 불과하다. 육상 선수들에 비해서는 많이 뒤처진다. 이에 대해 체육과학연구원 송주호 박사는 “수영 선수들은 물에서 달리는 근육이 발달한 대신 출발 신호에 반응하는 순발력은 떨어진다.”고 설명한다.
●허들은 체공시간 줄여야 유리
박태환은 출발반응속도가 좋은 대신 잠영 거리가 짧은 것이 최대 약점으로 손꼽힌다. 잠영을 할 때 사용하는 돌핀킥은 빠른 속도를 내게 해 준다. 수영에서는 물 밖보다 물속에서 오래 헤엄칠수록 유리한 것이다.
하지만 허들에서는 수영과 정반대 양상이 나타난다. 체공시간이 길수록, 즉 공중에 오래 떠 있을수록 기록에 불리하다. ‘공중에서 날아갈수록 뛰는 것보다 빠르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야구에서 1루에 갈 때 슬라이딩을 하는 것보다 그냥 뛰는 것이 더 빠른 것과 같은 이유다. 이 때문에 허들 선수들은 최대한 낮고 빠른 자세로 허들을 넘는 기술을 익히기 위해 땀을 흘린다.
김민희기자 haru@seoul.co.kr
●볼트 0.146초·파월 0.134초
육상에서 출발반응속도가 0.1초 이하로 나오는 경우 부정출발이 선언된다. 0.1초는 인간이 소리를 듣고 몸을 움직일 수 있는 이론적인 한계다. 즉, 어떤 선수가 0.1초도 안 돼 출발했다면 이는 스타트 총성을 듣고 움직인 것이 아니라 예측을 하고 출발했다는 뜻으로 보는 것이다. 이번 대회에서는 1번만 부정 출발해도 실격 처리된다.
‘인간 번개’ 우사인 볼트(25·자메이카)의 가장 큰 약점이 느린 스타트이지만 세계 최고로 군림할 수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196㎝의 큰 키와 긴 다리를 가진 볼트는 신체구조상 아무래도 스타트에 불리하다. 실제로 2009년 베를린 세계육상선수권대회 남자 100m 결승에서 세계기록(9초 58)을 세울 당시 볼트의 출발반응속도는 0.146초로 전체 8명 중 네 번째에 불과했다. 0.134초를 기록한 아사파 파월(29·자메이카)이나 0.144초의 타이슨 게이(29·미국) 등 경쟁자들에 뒤졌다.
가장 빨랐던 선수는 리처드 톰슨(26·트리니다드토바고)으로 0.119초였다. 볼트의 이 기록은 그나마 2008년 베이징올림픽에서 우승할 때(0.165초)보다 훨씬 좋아진 것이다.
그러나 볼트를 포함해 다른 선수들이 아무리 노력한다고 해도 출발반응속도를 0.1초 아래로는 줄일 수 없다. 반칙이기 때문이다. 볼트에게는 그나마 다행인 것.
다른 종목과 비교해 보자. ‘마린보이’ 박태환(22·단국대)은 세계 최고 수준의 출발반응속도로 유명하지만 0.6초 중반대에 불과하다. 육상 선수들에 비해서는 많이 뒤처진다. 이에 대해 체육과학연구원 송주호 박사는 “수영 선수들은 물에서 달리는 근육이 발달한 대신 출발 신호에 반응하는 순발력은 떨어진다.”고 설명한다.
●허들은 체공시간 줄여야 유리
박태환은 출발반응속도가 좋은 대신 잠영 거리가 짧은 것이 최대 약점으로 손꼽힌다. 잠영을 할 때 사용하는 돌핀킥은 빠른 속도를 내게 해 준다. 수영에서는 물 밖보다 물속에서 오래 헤엄칠수록 유리한 것이다.
하지만 허들에서는 수영과 정반대 양상이 나타난다. 체공시간이 길수록, 즉 공중에 오래 떠 있을수록 기록에 불리하다. ‘공중에서 날아갈수록 뛰는 것보다 빠르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야구에서 1루에 갈 때 슬라이딩을 하는 것보다 그냥 뛰는 것이 더 빠른 것과 같은 이유다. 이 때문에 허들 선수들은 최대한 낮고 빠른 자세로 허들을 넘는 기술을 익히기 위해 땀을 흘린다.
김민희기자 haru@seoul.co.kr
2011-08-23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