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녀 출전 女 대표팀 예선 탈락 불구 대회내내 파이팅… 투지는 금메달감
갑자기 온몸이 쑤셨다. 허리며 발목이며 어느 한구석 성한 곳이 없었다. 경기할 때는 몰랐다. 끝나자마자 통증이 밀려왔다. 꼭 이기고 싶었던 경기에서 졌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6개월 동안 꿈을 꾼 것 같았다. 한국 여자 크리켓의 도전이 끝났다.대표팀은 22일 인천 연희크리켓경기장에서 열린 홍콩과의 인천아시안게임 조별 예선 C조 2차전에서 57-92로 졌다. 20일 중국과의 1차전에서 패배했던 한국은 2연패로 토너먼트 진출에 실패했다.
대회 개막을 불과 6개월 앞둔 지난 3월 결성된 대표팀이었다. 배드민턴 생활체육 강사 출신인 46세 주부가, 골프 선수 출신이, 체대 입시 낙방생이 모였다. 크리켓이 뭔지도 모르는 선수가 태반이었다.
처음에는 공을 제대로 잡지도 못했다. 연습구장에서 땅바닥을 구르면서 크리켓을 몸에 익혔다. 강도 높은 훈련에 이런저런 부상을 당했지만 즐거웠다. 어느새 크리켓이 좋아졌다. 그러나 승부는 냉혹했다. 홍콩의 선제공격. 한국 수비는 쉬운 공마저 놓치기 일쑤였다. 홍콩의 점수는 빠르게 올라갔다. 한국은 20오버 동안 6개의 아웃을 잡는 데 그쳤다.
야구의 투수 역할을 하는 ‘볼러’가 6개의 공을 던지면 1오버가 된다. 타자 역할을 하는 ‘배츠맨’이 공을 치든 치지 못하든 상관없이 6개의 공이 1오버다. 크리켓에서 공격권을 얻으려면 10개의 아웃을 잡거나 20오버를 견뎌야 한다. 중국전에서 49점을 낸 한국이 92점을 따라잡기는 버거웠다. 포기하지 않고 안간힘을 썼지만 거기까지였다. 예선 통과를 바란 적은 없었다. 그저 한 번만 이겨 보고 싶었지만 꿈은 이뤄지지 않았다.
“연습대로 안 됐다. 나 때문에 두 명이나 아웃됐다”며 자책하는 안나의 큰 눈에서 눈물이 왈칵 쏟아질 것 같았다. 골프 선수 출신인 주장 오인영은 “쉽지 않다는 걸 알았지만 오늘은 너무 아깝다”고 했다. 그는 “외신의 관심이 오히려 크다. 6개월 운동했다고 하니 깜짝 놀라더라”면서 “(크리켓도) 컬링처럼 중계됐다면 보는 이들의 관심을 끌 수 있었을 것”이라며 쓰게 웃었다.
강신 기자 xin@seoul.co.kr
2014-09-23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