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격 여우 vs 수비 여우

공격 여우 vs 수비 여우

최병규 기자
입력 2017-08-27 22:26
수정 2017-08-28 02: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신태용-케이로스, 31일 상암벌 지략대결 관심

●짠물수비 케이로스 최종예선 실점 ‘0’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의 알렉스 퍼거슨 감독 밑에서 수석 코치를 지내며 수비 전술을 닦았던 카를로스 케이로스(64) 감독을 지탱하는 뿌리는 역시 ‘짠물 수비’다. 월드컵 최종예선 8경기 이란의 득점은 8골, 실점은 최종예선 12개 팀 중 유일하게 ‘0’이다.
이미지 확대
카를로스 케이로스 이란 축구대표팀 감독. 연합뉴스
카를로스 케이로스 이란 축구대표팀 감독.
연합뉴스
‘케이로스식 축구’가 극명하게 드러난 건 2014년 6월 브라질월드컵 본선에서다. 당시 조별리그 F조 2차전에서 아르헨티나와 만난 이란은 4-2-3-1 대형을 갖추고 수비 라인부터 강한 압박과 오버래핑 역습으로 아르헨티나의 진땀을 뺐다. 정규 시간 90분을 0-0으로 마친 뒤 추가 시간에 터진 리오넬 메시의 결승골로 분패(?)했지만 세계 축구 최강과 어깨를 나란히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申, 공격본능 앞세워 ‘설욕전’ 예고

반면 신태용(47) 감독의 축구에는 화끈한 ‘공격 DNA’가 녹아 있다. 물론 대표팀 사령탑 경력 면에서는 한참 아래이고 오는 31일 최종 예선 9차전(서울월드컵경기장)의 중요성이 워낙 큰 만큼 신 감독 자신도 “내가 하고 싶은 축구가 아니라 이기는 축구를 하겠다”고 선언했지만 잠재돼 있는 공격 본능이 언제, 어느 대목에서 드러날지는 아무도 알 수 없다.
신태용 축구대표팀 감독. 연합뉴스
신태용 축구대표팀 감독.
연합뉴스
케이로스가 ‘방패’라면 신태용은 ‘창’이다. 특히 그에게는 이번 이란전이 벼르고 별렀던 ‘설욕전’인 터라 그에 걸맞은 지략의 날카로움을 갈고 있다. 신 감독은 대표팀에서 뛰던 1996년 12월 아시안컵 8강전에서 골을 넣고도 역대 최다 점수 차인 2-6의 참패를 지켜봤다. 울리 슈틸리케 전 감독 시절 수석코치로 마지막 치른 지난해 10월 최종예선 원정 4차전에서도 0-1 패를 당했다.

●이란 쇼자에이 결장·하지사피 출격

한편 이란축구협회는 27일 해외파를 포함한 한국과 시리아전 최종 명단을 발표했다. 앞서 발표된 11명의 국내파 외에 13명의 해외파에는 이스라엘과의 경기 참가로 이란 정부의 영구 제명 논란에 휘말렸던 마수드 쇼자에이(33)가 예상대로 빠졌다. 그러나 에흐산 하지사피(27·이상 파니오니오스)는 포함됐다. 이 밖에 레자 구차네자드(30·헤이렌베르), 사르다르 아즈문(22·로스토프) 등이 이름을 올렸다. 아즈문은 경고 누적으로 한국전을 거르지만 시리아전에는 나선다.

이날 오후 인천아시아드 보조경기장에서 첫 훈련을 가진 케이로스 감독은 “이 훈련장은 한국에서 제공할 수 있는 최선은 아닌 것 같다”면서 “(이란 원정 때) 우리가 제공한 것에 불만이라면, 그건 우리가 더 나은 것을 갖고 있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그라운드 상태에 대해 불만을 터뜨렸다.

최병규 전문기자 cbk91065@seoul.co.kr
2017-08-28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