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반 돌풍 불구 외신들 잇단 혹평
출시 초반 돌풍을 일으키는 듯했던 ‘아이폰7’이 잇따른 기기 결함 논란에 휩싸였다. ‘갤럭시노트7’의 전량 리콜로 반사이익을 누리고 있지만 기기에 갖가지 약점들이 드러나면서 흥행에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우고 있다.20일 정보기술(IT)업계와 외신에 따르면 아이폰7은 최근 방수·방진 기능의 하자와 소음 문제, 일부 제품의 흠집이 나는 문제 등이 제기되고 있다. 아이폰7의 방수·방진 기능에 대해 미국 IT매체 지디넷은 “방수라고 부르지 마라”며 “방수가 아니라 물이 잘 스며들지 않는 수준(water-resistant)이며 둘의 차이는 상당하다”라고 보도했다. 아이폰7의 방수·방진 등급인 IP67은 1미터의 수심에서 30분 정도 견딜 수 있는 수준이지만 실제 성능은 기대 이하라는 평가가 나온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의 테크칼럼니스트 조애나 스턴이 지난 14일 공개한 아이폰7 수중 실험에서는 기기를 물에 담갔다 꺼내자 화면이 정지되고 터치 버튼이 작동하지 않는 현상이 담겼다.
소음 논란도 이어지고 있다. 애플 전문 온라인 매체인 애플인사이더는 지난 17일 “몇몇 아이폰7과 아이폰7플러스 구매자들이 기기가 과부하되면 ‘쉭’(hissing)하는 소리가 들려 불평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애플은 공식 입장을 내지 않았지만 아이폰7과 아이폰7 플러스에 탑재된 애플의 최신 프로세서 A10이 열기를 제대로 식히지 못했을 때 소음이 난다는 관측이 나온다. 또 가장 인기있는 제트블랙 색상 모델이 외부 충격에 취약해 셔츠나 동전, 열쇠 등에 쉽게 흠집이 난다는 지적도 나왔다.
시장조사기관 로컬리틱스에 따르면 지난 16일 미국 등 28개국에 출시된 아이폰7과 아이폰7 플러스의 첫 주말 시장 점유율은 전체 아이폰 모델 중 각각 1%와 0.2%를 차지했다. 아이폰7의 점유율은 아이폰6S(1%)와 비슷하지만 아이폰6(2%)에는 미치지 못했다. 업계 관계자는 “역대 아이폰에 ‘밴드게이트’와 수신율 저하 논란 등이 있었지만, 출시된 지 며칠 지나지 않아 여러 가지 결함이 지적된 것은 흔치 않은 일”이라면서 “미국 통신사의 ‘공짜 마케팅’과 애플의 팬덤 덕에 초기 흥행에는 성공하겠지만 실제 성패는 4분기까지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6-09-21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