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신양명의 잣대가 달라졌을 뿐 성공하고 유명해지고 싶어 하는 것은 인지상정이다. 과거에는 높은 관직에 올라 나라에 큰 공을 세워야 이름을 더 높일 수 있었다면 요즘은 스포츠, 문화예술, 경제활동 등으로 다양해졌다. 다만 경쟁 또한 훨씬 치열해졌으니 입신양명은 예나 지금이나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서양에서 말하는 노블레스오블리주는 왕족과 귀족 등 권한을 많이 가진 지도자들이 가져야 하는 도덕적 의무다. 권위주의 시대가 지나면서 우리 국민들도 사회지도층의 노블레스오블리주에 대한 기대심리가 커져 가고 있다. 우리 사회에서 가장 많은 권한을 가진 부류는 정치인과 고위공직자들이다. 2000년 인사청문회법이 시행된 이후 고위공직자에 대한 도덕적 잣대가 한층 강화되고 있다. 인사청문회 본래의 목적은 국정 수행 능력과 자질 검증을 위한 것이지만 권력에 대한 견제 수단으로서의 역할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인사청문 대상자인 국무위원급 고위공직자에 대한 하마평이 나올 때마다 검증의 칼날이 더욱더 날카로워지고 있다. 특히 도덕적 잣대는 고위공직 후보자 본인뿐 아니라 배우자와 주변 친인척의 삶까지 들춰낸다. 오죽했으면 “석가, 예수, 공자가 나서도 인사청문회를 통과하기 쉽지 않다”는 우스갯소리가 나왔을까.
“도덕적인 인간이 된다는 것은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인간 본성을 거스르는 것과 같다”고 했다. 매우 어렵다는 의미다. 하지만 사회지도층이 되고 입신양명을 원한다면 도덕적인 삶을 살아야 한다. 국가와 사회가 바로 설 수 있는 토양이 되기 때문이다. 대통령실이 부분 개각을 준비하고, 각 정당의 내년 총선 채비도 속도를 내면서 하마평들이 잦아지고 있다. 부디 그 주인공들 또한 입신양명에 적합한 도덕적인 삶을 살아왔기를 빌어 본다.
2023-09-12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