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 MBC > TV조선 > SBS 순…연합뉴스TV 1.184%로 상승
방송매체 영향력의 잣대가 되는 시청점유율이 지난해 KBS 등 지상파 방송은 줄어든 반면 종합편성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와 보도PP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순위로 보면 KBS가 여전히 부동의 1위를 지켰다.16일 방송통신위원회가 발표한 ‘2014년도 방송사업자 시청점유율 산정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217개 방송사업자의 375개 채널과 방송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28개 일간신문의 시청점유율을 조사한 결과, KBS 계열이 31.210%로 가장 높았다.
시청점유율은 해당 방송사업자의 시청점유율에 특수관계자 등의 시청점유율을 합산해 산정한다. 일간신문이 방송사업을 겸영하거나 주식 또는 지분을 소유하는 경우에는 해당 일간신문의 구독률을 시청점유율로 환산한 후 해당 방송사업자의 시청점유율에 합산해 계산한다.
KBS의 경우 지난해 시청점유율 1위를 기록했지만, 전년의 31.989%보다 낮아졌다.
지상파 중에서는 MBC 계열도 2013년 16.778%에서 작년 15.633%로, SBS 계열은 9.673%에서 9.108%로 떨어졌다.
이에 비해 종편의 경우 지난해 시청점유율이 TV조선(조선일보 계열) 9.440%, JTBC(중앙일보) 7.490%, 채널A(동아일보) 5.776%, MBN(매일경제신문) 4.572%로 집계됐다.
2013년 시청점유율이 TV조선 9.026%, JTBC 7.810%, 채널A 5.350%, MBN 3.825%였던 것과 비교하면 JTBC를 제외하고는 모두 상승했다.
종편의 시청점유율에는 종편을 소유한 신문의 구독률을 시청점유율로 환산한 매체교환율이 적용되며, 작년 TV 대 일간신문 간 매체교환율은 1 대 0.41로 산정됐다.
보도전문채널 중에서는 YTN이 1.611%에서 1.718%로 올랐다. 연합뉴스TV는 2013년 0.959%에서 1.184%로 0.225%포인트 상승하면서 1%를 넘어섰다.
유선방송(SO) 부문은 CJ E&M(CJ 계열) 8.713%, 티캐스트(티브로드 계열) 2.965%, CU미디어(C&M 계열) 2.028%, 현대미디어(HCN 계열) 0.882% 등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2013년과 비교해 전체 순위를 보면 KBS와 MBC가 각각 1, 2위를 고수한 가운데 SBS가 3위에서 4위로 밀려났다. 반면 TV조선은 2012년 5위에서 2013년 CJ E&M을 제치고 4위로 올라간 데 이어 2014년에도 SBS를 누르고 한 단계 순위가 상승했다.
한편, 방통위는 시청점유율 조사 때 고정형TV 외에 PC나 스마트폰으로 보는 주문형비디오(VOD) 시청시간도 합산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