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이라는 경사를 맞이했던 문단은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에 참담함과 큰 분노를 드러냈다. 대한민국 문화의 위상이 전 세계로 퍼져 나가는 이 순간에, (비상계엄이라는) 시대착오적 조치가 힘들게 쌓아 올린 문화적 가치를 스스로 무너뜨렸다고 평했다.
이미지 확대
스웨덴 화가 니클라스 엘메헤드가 그린 한강의 초상화. 노벨위원회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스웨덴 화가 니클라스 엘메헤드가 그린 한강의 초상화. 노벨위원회 제공
4일 한국작가회의는 ‘민주주의를 말살하려는 윤석열은 더 이상 대한민국 대통령이 아니다’라는 제목의 성명을 냈다. 성명에서 “21세기 대한민국 헌정사에 있을 수 없는 사태”라며 “어느 하나 합리적 근거가 없는 포고문은 국회의 정치 활동을 억압하고 언론을 통제하며 국민의 일상을 한순간에 무너뜨리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어 “계엄 선포 국민과 대한민국 헌법에 대한 도전이자 배신일 뿐”이라며 “검찰 독재를 군사 독재로 전환하려는 권력욕에 불과하다”고 성토했다.
이미지 확대
한강 작가의 아버지 한승원 작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한강 작가의 아버지 한승원 작가
다수의 문인은 참담한 심정으로 잠을 이루지 못했다.
한강 작가의 아버지인 한승원 작가는 서울신문과 전화 통화에서 “과거에는 법을 모르는 패악스러운 군 출신들이 벌인 일이었지만, 이번엔 법조문을 달달 외는 대통령이 벌인 일”며 “(대통령) 스스로 제 발등을 도끼로 찍은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민주주의를 지킬만한 역량을 가진 국민들이 발 빠르게 대처해 수렁을 벗어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정보라 작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정보라 작가
2022년 소설 ‘저주토끼’로 부커상 인터내셔널 부문 최종 후보에 올랐던 정보라 작가는 “다른 나라의 작가들에게 안부를 묻는 연락을 많이 받고 외신에서 취재 전화를 걸어오기도 했다”며 “그들에게 이런 황당한 상황을 설명해야 하는 현실이 안타까웠다”고 밝혔다. 이어 “반헌법적인 사태에 대한 책임을 묻기 위해 목소리를 낼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민정 시인은 “참담함은 슬픔”이라며 “간밤 우리에게 일어났던 이 일은 뭘까. 이렇게까지가 아니었다면 끌어내릴 수 없던 걸까. 그럼 전화위복이란 말일까. 보았으니 잊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남겼다.
윤수경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