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근하고 미묘한 괴롭힘… 회사에서 내 영혼이 가출하는 이유

은근하고 미묘한 괴롭힘… 회사에서 내 영혼이 가출하는 이유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5-04-11 00:10
수정 2025-04-11 06: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세공격 주의보
남대희 지음
김영사/272쪽/1만 8000원

이미지 확대


직접적으로 괴롭히지는 않더라도 은근하고 미묘하게 불쾌감을 주는 상사는 어느 조직에나 있다. 업무와 상관없는 후배의 태도나 말투를 지적하고, 뭔가 못마땅한 일이 있으면 인사도 제대로 안 받고 무시하는 방식으로 괴롭힌다. 상사의 의견과 반대되는 의견을 내놓으면 “네가 뭘 아느냐”며 뭉개 버리기도 한다. 이런 일이 쌓이면 마음속에 ‘나가 버릴까’ 하는 목소리도 커진다.

은밀하고 미묘한 공격은 개인 간은 물론 직장이나 집단, 사회 곳곳에 안개처럼 깔려 있다. 대놓고 소리 지르거나 야단치는 것보다 더 상처가 되는 이런 작은 공격들이 바로 ‘미세공격’이다. 정색하자니 뒷감당이 부담스럽고, 대응하자니 유난스럽게 보일 수 있는 그런 공격들이다. 실제로 발끈하면 “뭐 그런 걸로 화를 내느냐”는 핀잔만 듣는다.

대기업과 공직, 언론사에서 30년 넘게 일한 저자가 사회 곳곳에서 벌어지는 미세공격의 현장을 파헤쳤다. 다정한 듯 무례한 조직의 두 얼굴, 그 속에서 갈팡질팡하다가 결국 회사에서 슬며시 정을 떼는 직장인의 모습을 예민한 시선으로 파고들었다. 여기에 자신의 경험까지 녹였다. 저자는 과거에 비해 선을 넘는 질타와 거친 언행이 줄어들었다고 해서 직장인들이 받는 상처와 좌절이 줄어들 것이라고 착각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 미세공격으로 개인의 의욕과 열정이 조금씩 증발하면서 조직은 집단 피로와 무기력에 빠져들고 결국 개인에게도, 조직에도 큰 손해를 부른다.

미세공격을 줄이려면 우선 그것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서로 인지하는 일에서 시작해야 한다. 특히 자신도 알게 모르게 미세공격의 가해자가 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저자도 “여성이며 사회성이 부족하고 직장을 몇 번 옮긴 경력직 입사자인 탓에 항상 조직의 마이너리티라고 생각해 왔지만 미세공격을 탐구하면서 나 역시 누군가에게는 편견의 안경을 끼고 대했다는 것을 발견하고 반성했다”고 밝힌다. 저자는 무의식적 편견의 습관을 고치고 익숙한 것에서 벗어나 껄끄럽고 불편한 진실 마주하기 등 미세공격을 줄이는 여러 방법을 제안한다.

2025-04-11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