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구룡마을 개발안 대혼란] 타워팰리스와 이웃한 무허가촌 하수도 없고 공동화장실 써야

[강남 구룡마을 개발안 대혼란] 타워팰리스와 이웃한 무허가촌 하수도 없고 공동화장실 써야

입력 2013-11-04 00:00
수정 2013-11-04 00: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구룡마을은

서울 강남구 개포2동 대모산 자락에 자리한 구룡마을은 1970년대 대규모 도시개발과 더불어 갈 곳을 잃은 시민들이 무허가 판자촌을 형성하며 첫발을 뗐다. 1980년대 들어 도시개발 사업이 추진된 데다 86아시안게임과 88서울올림픽을 앞두고 전국적인 정비 사업으로 1989년엔 경기 광명시 철산리를 비롯해 5개 수도권 신도시 개발 철거민들이 몰렸다. 이후 비닐하우스촌으로 고착됐다.

오랜 시간 서울의 옛 모습을 간직한 듯한 풍경 때문에 지난해 서울시 선정 ‘영화가 사랑한 서울 촬영지 100선’에 꼽히기도 했다. 무허가촌이어서 지도에도 없다. 주민들은 ‘사유지를 불법 점거하고 있다’는 이유로 2011년 5월까지 전입신고조차 할 수 없었다.

무허가촌인 데다 없이 사는 이들이 모인 곳이라 생활 환경이 열악했다. 하수도 등의 도시 기반 시설이 없고 공동 화장실을 쓴다. 땅속에 묻어야 할 수도관은 지붕 위로 전선들과 뒤엉켜 있다.

낡은 판잣집들이 군락을 이뤘지만 부(富)의 상징으로 꼽히는 타워팰리스와 이웃한 데다 양재대로를 사이에 두고 개포주공단지와 맞닿은 입지 덕분에 강남의 마지막 금싸라기 땅으로 불리며 지난 20년간 개발 압력을 받은 곳이다.

김정은 기자 kimje@seoul.co.kr

봉양순 서울시의원, 도시안전부터 공원정비까지...노원 생활환경 개선 33억원 확보

서울시의회 봉양순 의원(더불어민주당, 노원3)이 2025년 제1회 서울시 추가경정예산에 노원구 도시안전과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총 33억원 규모의 예산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제1회 추가경정예산을 전반적인 긴축 편성 기조 속에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지원, 공공의료와 복지 강화, 노후 인프라 정비 등 핵심 분야에 집중 투자하는 방향으로 잡아 전체적으로는 신규 편성이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 봉 의원은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노원구 지역의 도시안전과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실질적 필요성을 반영하여 예산 확보에 성공함으로써 의미 있는 성과를 끌어냈다. 특히 이번 노원구 지역 예산에는 노후 하수관로 정비, 보행환경 개선, 주민 여가공간 재정비 등 일상생활과 직결된 사업들이 대거 반영됐다.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 오랫동안 제기돼 온 수요를 반영한 사업들로 노후 인프라를 개선하여 실제 생활 불편 해소와 삶의 질 향상과 직결된 내용들이다. 주요 예산 확보 내역은 ▲한글비석로 보행환경 개선사업 9억 7000만원 ▲월계동 923-1일대 하수관로 개량사업 5억원 ▲상계로 35길 87일대 하수관로 개량사업 8억 5000만원 ▲어울림공원 재정비 및 환경개선 사업 10억원 등이다
thumbnail - 봉양순 서울시의원, 도시안전부터 공원정비까지...노원 생활환경 개선 33억원 확보

2013-11-04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