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며칠 전부터 동창리 일대 예의주시
트럼프가 먼저 연락… NSC는 소집 안 해文, 전격 방미·대북특사 파견 가능성도
‘북한판 에이태킴스’로 불리는 단거리 탄도미사일이 표적을 향해 비행하는 모습. 연합뉴스
청와대 관계자는 “한미 공조 속에 며칠 전부터 동창리 일대를 예의주시하면서 관련 정보를 공유했다”고 밝혔다. 동창리 일대 움직임을 주시하며 예측했던 만큼 NSC 상임위를 소집하지 않더라도 청와대가 국방부·합참·국정원 등과 함께 ‘중대 시험’의 내용이나 의도를 논의·분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발표가 북한 국방과학원 대변인 명의의 성명으로 나왔는데, 청와대가 입장을 내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는 판단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다른 관계자는 “NSC를 여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관련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했다. 이번 시험을 두고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나 위성 발사를 위한 우주발사체(SLV)에 필요한 고출력 신형 엔진시험일 가능성이 제기되고는 있지만, 정확히 어떤 시험인지 확인되지 않았다는 점 역시 신중한 접근의 배경이 된 것이다.
일각에서는 전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요청으로 이뤄진 문재인 대통령과의 통화 역시 북한의 ‘대단히 중대한 시험’과 관련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동창리 일대의 움직임은 미국 정찰자산에 의해 충분히 파악된 상태였고, 정상 통화는 중대 시험이 있기 불과 수시간 전에 이뤄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두 정상이 북한의 시험에 대해 통화 전에 인지하고 있었다고 봐야 한다”고 했다.
두 정상은 통화에서 최근 한반도 상황이 엄중하다는 인식을 공유하고 북미 비핵화 협상의 성과를 달성하려면 대화 모멘텀이 유지돼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고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이 밝혔다. 외교 관례를 이유로 먼저 통화를 요청한 쪽을 공개하지 않았던 청와대가 이례적으로 ‘워싱턴의 요청’을 밝힌 점도 눈길을 끈다. 북한의 압박 강도가 거세지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의 진의를 묻거나 협상이 깨지지 않도록 문 대통령의 역할을 요청한 것이란 해석도 나온다. 이와 관련해 문 대통령이 북미의 극적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대북특사를 파견하거나 전격적으로 미국을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을 만날 가능성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남북 관계 경색 속에 문 대통령이 북측과 소통하려면 남북 관계가 북미 관계보다 한 걸음이라도 앞서가야 하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금강산 관광, 개성공단 재개 등 조건부 대북 제재 완화마저 완강히 거절하는 상황에서는 움직일 공간 자체가 지극히 협소하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2019-12-09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