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번의 호흡으로 읽히는 시편독자를 오래 생각하도록 만들어“삶에서 끊임없이 경험하는 이별그 속절없음에 관한 이야기예요”말보다는 침묵이 빈 종이를 채운다. 잘 생각해 보면 세상도 그렇지 않나. 말보다는 ‘말할 수 없는 것’이 우리 주변의 세계를 가득 메우고 있다.박준(42)의 새 시집 ‘마중도 배웅도 없이’는 시인이
“전곡 녹음까지 이어 갈 수 있었던 힘이요? 미치도록 사랑했기 때문이죠. 그의 음악뿐만 아니라 인간적인 면모, 심지어 그가 집착했던 것까지도요.”피아니스트 최희연(57)은 자신이 몰두했던 작곡가 루트비히 판 베토벤을 향한 마음을 이렇게 정리했다. 2002년부터 4년에 걸쳐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전곡 연주 시리즈로
벤저민 브리튼 ‘전쟁 레퀴엠’ 대미2년 전 선곡… 공교롭게 시의적절임윤찬, 두 차례 연주로 축제 빛내불레즈 작곡 ‘삽입절에’ 亞 첫 공연임윤찬에게 화려한 스포트라이트가 집중됐다. 그게 전부는 아니었다. 바흐부터 브리튼까지, 그리고 클래식을 넘어 국악과 재즈까지. ‘2025 통영국제음악제(TIMF)’는 정치적으로,
“젊고 유능한 한국인 연주자가 점점 많이 나오고 있잖아요. 음악제도 그에 따라 점점 더 좋아지고 있는 것을 피부로 느끼고 있습니다.”2022년부터 ‘통영국제음악제’의 예술감독을 맡고 있는 세계적 작곡가 진은숙(64)은 6일 경남 통영국제음악당에서 서울신문과 만나 올해 축제의 성과를 이렇게 정리했다. 진은숙은 쇤베
박노해 시인이 이사로 있는 나눔문화재단은 4일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파면 결정에 대해 “오늘은 대한민국 민주주의 새 역사, ‘빛의 혁명’ 승리의 날로 기록될 것”이라며 환영하는 입장을 밝혔다. 아울러 파면된 윤 대통령에 대해 “즉각 재구속과 법대로 최고형을 부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나눔문화재단은 4일 성명
한국작가회의가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파면 결정을 환영하며 “쿠데타에 대한 내란 및 외환죄에 대한 형사적 절차를 밟아가자”고 촉구했다.작가회의는 4일 윤 대통령의 파면 선고가 나오자마자 성명을 내고 이같이 밝혔다. 작가회의는 “신중하고도 단호하게, 헌법과 법률이 정한 바에 따라 그들의 죗값을 묻는 일에 철저한
한국의 전통 종교음악인 ‘종묘제례악’이 싱가포르에서 울려퍼진다.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과 싱가포르 수교 50주년을 맞아 4~5일 싱가포르 에스플러네이드 극장에서 열리는 ‘세계종교음악축제’에서 종묘제례악 공연이 열린다고 밝혔다.세계종교음악축제는 세계 각국의 다양한 종교적 배경을 가진 전통음악을 들을 수 있는 싱가포르의
문정희 국립한국문학관장의 시가 스페인 산티아고 순례길 종착지에 새겨졌다.한국문학관은 문 관장의 시구가 산티아고의 ‘말하는 돌의 정원’ 석비(石碑)에 새겨진 것을 기념하는 행사가 현지에서 열렸다고 3일 밝혔다.‘말하는 돌의 정원’은 산티아고시청과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학교(USC)가 협력해 산티아고길의 종착지에
조시현 작가 첫 소설집 출간영혼만 남은 인류 미래 그려그것은 ‘나’일 수 있는가 고찰시·소설 장르적 경계 허물어시인과 소설가를 겸하는 조시현(33)의 글을 마주하고서 세 가지 질문이 피어오른다. 시를 시이게끔 하는 것은 무엇인가. 소설을 소설이게끔 하는 것은 무엇인가. 그리고 마지막, 인간을 인간이게끔 하는 것은
탱고는 ‘그리움’이다. 고향을 떠난 이의 음악이라서다.19세기 말 아르헨티나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로 몰려든 이민자들로부터 탱고는 시작됐다. 세계 각국의 다채로운 리듬과 음색에 이민자의 슬픔과 상처가 더해졌다. 아름답고 우울한, 탱고만의 음색은 거기서 비롯된다.●세계 누비는 탱고 아티스트 그룹오는 22일 서울 마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