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넘어 인간적 면모까지 사랑
지금은 화합의 ‘후기 베토벤’ 필요”

유니버설뮤직 제공

피아니스트 최희연.
유니버설뮤직 제공
유니버설뮤직 제공
“전곡 녹음까지 이어 갈 수 있었던 힘이요? 미치도록 사랑했기 때문이죠. 그의 음악뿐만 아니라 인간적인 면모, 심지어 그가 집착했던 것까지도요.”
피아니스트 최희연(57)은 자신이 몰두했던 작곡가 루트비히 판 베토벤을 향한 마음을 이렇게 정리했다. 2002년부터 4년에 걸쳐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전곡 연주 시리즈로 전석 매진 기록을 이어 가며 ‘베토벤 스페셜리스트’로 이름을 알린 그는 2015년이 돼서야 음반 녹음을 시작했다. 이런저런 어려움에도 결국 작업은 10년 만에 9장짜리 CD로 결실을 이뤘다. 최근 서울 강남구 신사동에 있는 클래식 음반 전문 매장 풍월당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최희연은 그간의 소회를 밝혔다.
“소나타 21번 ‘발트슈타인’을 참 좋아해요. 그걸 보면 베토벤이 얼마나 도덕적이었으며 과거의 은인을 소중하고 감사히 여겼는지를 알 수 있거든요.”
이날 최희연은 기자들 앞에서 ‘발트슈타인’ 1악장을 즉석에서 연주했다. 가장 좋아하는 작품이란다. 10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IBK챔버홀에서 열리는 공연에서도 선보일 곡이다. 베토벤의 황금기를 대표하는 이 곡은 소년 시절 자신을 후원했던 페르디난트 폰 발트슈타인 백작에게 헌정됐다. 그래서 제목도 ‘발트슈타인’이다. 최희연은 이외에도 베토벤의 후기 소나타 3곡을 아울러 들려줄 예정이다. 왜 하필 ‘후기 베토벤’일까.
“세계적으로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어요. 한국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도 마찬가지죠. 다양성을 존중하자는 차원이 아닌 양극화는 인류를 심각하게 위협합니다. 후기에 이르러 베토벤은 통일, 화합을 이야기했어요. 악장의 구분도 최대한 하지 않으려고 노력했죠. 지금은 그 어느 때보다도 후기 베토벤의 음악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1999년 최연소 서울대 교수로 임용된 뒤 후학을 양성하기도 한 최희연은 2023년부터는 미국 명문 음악대학인 피바디 음대 교수로 지내고 있다. 그는 “임윤찬, 조성진 등을 비롯해 세계 무대에서 활동하는 연주자들에게는 특히 모국에서의 열렬한 후원이 절실하다”고 했다. 이어 “경쟁도 중요하지만 음악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수 세기의 역사를 갖춘 클래식은 그 깊이를 감당할 수 있는 문화이기도 하다”고 덧붙였다.
“‘못 해 먹겠다’는 생각이 든 적도 있어요. 그래도 가족의 헌신 덕에 여기까지 왔죠. 베토벤을 이해하기 위해 다른 장르의 음악을 공부했는데 그를 바라보는 시각이 변하더라고요. 재밌었어요. 베토벤을 조금 더 잘 알게 된 것 같아요.”
2025-04-09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