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길 먼 장애인 여행… 휠체어 실을 렌터카도, 항공권 예매도 ‘하늘의 별따기’
뇌병변 3급 장애인 조모(38·여)씨는 지난여름 렌터카를 구하지 못해 제주도 여행을 포기했다. 비(非)장애인인 남편 김모(45)씨가 렌터카 업체 여러 곳에 문의했지만, 조씨의 휠체어를 실을 수 있는 리프트형 차량을 보유한 곳이 없었다. 김씨는 “모처럼 마음먹고 여행 계획을 세웠는데 장애인을 위한 렌터카가 없었다”면서 “차량 없이 이동 자체가 어려워 항공권과 호텔 예약을 모두 취소했다”고 씁쓸해 했다.서울 양천구에 사는 시각장애인 최모(34·여)씨는 해외여행을 가고 싶다는 말을 했다가 부모님으로부터 “몸도 불편한데 여러 사람 힘들게 하기보다 집에 있는 게 어떠니”라는 핀잔을 들었다. 최씨는 “국내 장애인 전문 여행사에 문의했지만, 휠체어를 타는 지체장애인을 위한 상품밖에 없었다”며 “활동 보조인의 경비까지 모으려면 부담이 되는 게 사실이지만 그래도 꼭 한번 해외에 나가고 싶다”고 털어놨다.
누구나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세상이지만 장애인에게 장거리 여행은 여전히 먼 나라 이야기다. 장애인단체 관계자는 30일 “(장애인이 장거리 여행을 하려면) 시설이 잘 갖춰진 대도시에서도 가족이나 활동 보조인을 대동해야 하는 사례가 많다”고 꼬집었다. 보건복지부가 3년마다 실시하는 ‘장애인 실태조사’(2011년 기준)에 따르면 전국 3만 8231 장애인가구 중 문화·여가 활동으로 여행을 한다고 답한 가구는 1.7%에 불과했다.
특히 시각장애인은 항공권 예약부터 높은 벽이다.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부설기관인 한국웹접근성평가센터가 최근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을 포함해 국내 항공사 홈페이지 7곳을 조사한 결과 시각장애인이 항공권을 예매할 수 있는 곳은 에어부산와 이스타항공 등 2곳에 그쳤다.
장애인 배려시설이 턱없이 부족한 것도 여행을 망설이게 한다. 관광객 1000만명이 찾는다는 제주도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제주도장애인총연합회에 따르면 렌터카 업체 69곳(차량 1만 5605대) 가운데 장애인 전용 차량을 보유한 업체는 2곳(7대)에 그쳤다. 전세버스 1998대 중 ‘휠체어 리프트’가 설치된 버스는 없었다. 최명숙 한국뇌성마비복지회 홍보팀장은 “장애인이 장거리 여행을 하려면 보호자나 이동이 보장된 차량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관광 약자를 위한 배려가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뇌병변 5급 장애인 한모(47)씨는 “언론에 대륙을 횡단하거나 높은 산에 오른 장애인들이 소개되는데 이제는 개인의 작은 발걸음도 배려받을 수 있어야 한다”면서 “(비장애인들이) 장애인의 여행도 인간의 당연한 권리로 봐 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3-12-31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