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 부족해 30% 가정 양육
미취학 아동을 통틀어 0세(0~11개월) 영아를 어린이집에 보내기가 가장 어렵고, 특히 부산과 울산은 수요보다 시설이 부족해 입소가 더 힘든 것으로 조사됐다.2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영아기 양육 지원 인프라 현황과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0세 영아의 전국 어린이집 보육 수요는 30.1%지만 실제 어린이집 이용률은 14.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0세 영아를 둔 부모의 30.1%가 어린이집을 이용하길 원하지만 실제로는 절반가량만 이용하고 있다는 의미다.
지역별로 보면 부산과 울산에서 0세아의 어린이집 이용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부산의 0세아 어린이집 이용률은 22.0%, 울산은 23.8%다. 0세아 보육 수요율 30.1%를 기준으로 할 때 3명 가운데 1명은 어린이집 보육 서비스를 원해도 0세아를 받아 주는 시설이 부족해 어쩔 수 없이 가정 양육을 하는 셈이다. 반면 제주(56.8%)와 광주(43.9%)의 시설 이용률은 보육 수요보다 훨씬 높아 지역 간 편차가 컸다. 서울의 0세아 어린이집 이용률은 27.1%로 보육 수요에 조금 못 미쳤다.
보고서를 작성한 김은정 보사연 부연구위원은 “수요 아동이 수도권에 집중돼 있긴 하지만 이 점을 고려해도 전반적으로 서울과 경기권에 인프라가 몰려 지역 불균형 해소 문제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6-08-03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