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퇴원 후 심리치료 서비스
우울감·불안·초조 등 대폭 줄어
효과 입증에도 내년 예산 증액 ‘0’
응급실에 온 자살 시도자를 사례관리사가 매일 만나 심리 치료를 한 결과 자살 위험이 60%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자살 시도자의 자살 위험은 일반인보다 25배 높은데, 현재 84개 응급실에서만 이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인프라를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31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13년부터 시작된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은 응급실에 상주하는 사례관리사가 자살 시도자에게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퇴원 후에도 지속해서 관리받을 수 있도록 지역사회 정신건강 서비스를 연계해 주는 것이다.
사업의 효과성은 충분히 입증됐다. 지난해 응급실 내원 후 상담·치료를 받은 1만 1321명을 조사한 결과 상담을 거듭할수록 자살위험도와 우울감이 감소했다. 전반적으로 자살위험도가 높은 사람의 비율이 1회 상담을 받았을 때는 15.6%였다가 4회 상담 때는 6.5%로 감소해 60%가량 줄었다. 서비스 전후로 우울감을 느끼는 사람은 18.8% 포인트, 불안·초조를 느낀 사람은 10.0% 포인트, 자살 생각을 한 사람은 11.4% 포인트, 자살 충동을 느낀 사람은 12.0% 포인트 감소했다.
자살 시도자 10명 중 9명이 충동적으로 자살을 시도하기 때문에 환자 곁에서 말을 건네고 마음 치료를 하면 또다시 자살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사례관리사들은 말한다. 하지만 서비스 시행 기관이 센터급 이상 응급의료기관(177개)의 48%에 불과해 서비스를 충분히 제공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응급실 사후관리 예산은 올해 143억 5400만원이며, 정부가 제출한 내년도 예산은 증액되지 않았다.
복지부 관계자는 “응급실 기반 자살 시도자 사후관리사업 참여 기관을 무한정 늘릴 수는 없어 지역 정신건강센터로 연계해 상담·관리하고자 한다”며 “현재 정신건강센터 사례관리사 1명이 자살 시도자 20~25명을 담당하고 있는데, 15명 정도만 담당하도록 인력 충원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2023-09-01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