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속 이상화, 이틀 연속 500m 세계신기록…36초36

빙속 이상화, 이틀 연속 500m 세계신기록…36초36

입력 2013-11-16 00:00
수정 2013-11-17 07: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상화
이상화
’빙속 여제’ 이상화(24·서울시청)가 월드컵 시리즈에서 멈출 줄 모르는 신기록 행진을 이어갔다.

이상화는 17일(한국시간) 미국 솔트레이크시티에서 열린 2013-2014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스피드스케이팅 월드컵 2차 대회 여자 500m 디비전A(1부리그) 2차 레이스에서 36초36 만에 결승선을 통과했다.

전날 36초57의 기록으로 세계기록을 작성한 이상화는 하루 만에 다시 자신의 기록을 0.21초나 단축했다.

이상화는 올해 1월 36초80의 기록을 세운 것을 시작으로 최근 네 차례나 세계기록을 연거푸 갈아치우며 절정의 기량을 뽐내고 있다.

여자 500m에서 네 차례 이상 세계기록을 경신한 선수는 이상화까지 네 명에 불과하다.

카트리오나 르메이돈(캐나다)이 7차례 기록을 새로 썼고 보니 블레어(미국), 크리스티나 로텐버거(독일)가 이상화와 같은 4번을 기록했다.

이 가운데 다른 선수에게 세계기록 타이틀을 내주지 않은 채 자신의 기록을 세 차례 이상 연거푸 새로 쓴 선수는 르메이돈과 이상화뿐이다.

이상화가 달릴 때마다 여자 500m에서는 새로운 역사가 펼쳐지고 있다.

지난해까지 이 종목 세계기록은 위징(중국)이 작성한 36초94였다.

이는 처음으로 여자 선수가 36초대에 진입한 기록이기도 했다.

이상화는 올해 들어 네 차례나 세계기록을 갈아치우며 여자부의 최고 기록을 36초30대까지 단축했다.

2014 소치 동계올림픽이 열리는 이번 시즌에는 ‘기록의 산실’인 캐나다 캘거리와 미국 솔트레이크시티에서 열린 월드컵 1∼2차 대회에서 네 번의 레이스 중 세 번 신기록을 작성하는 기염을 토했다.

특히 1차 대회 2차 레이스부터 2차 대회 1∼2차 레이스까지 쉴 틈 없이 달릴 때마다 기록을 쏟아냈다.

금메달은 한 번도 놓치지 않았다.

월드컵 포인트 400점을 쌓은 이상화는 2위 왕베이싱(중국·280점)을 멀찍이 제쳤다.

최상의 빙질을 자랑하는 솔트레이크시티에서 이날도 헤서 리처드슨(미국)이 36초90의 개인 최고 기록을 작성하는 등 여러 선수가 선전했다.

그러나 이상화의 실력은 이를 뛰어넘기에 충분했다.

2위 리처드슨은 개인 최고 기록을 세우고도 이상화와의 격차가 0.54초로 오히려 벌어졌다. 3위 올가 파트쿨리나(러시아·37초13)와의 기록 차이는 0.77초에 달했다.

마지막 조에서 예니 볼프(독일)와 함께 달리며 아웃코스에서 출발한 이상화는 전날 자신의 최고기록(10초16)보다 100분의 7초를 줄인 10초09만에 첫 100m를 통과해 새로운 신기록의 기대감을 키웠다.

후반 400m 기록 역시 26초27로 전날(26초41)보다 크게 단축했다.

이틀 연속 역사적인 질주를 펼친 이상화는 주먹을 쥐어 보이며 환한 미소를 지었다.

반면 전날 남자 500m 경기 도중 넘어진 모태범(24·대한항공)은 그 여파로 이날 1,000m 레이스를 포기해 걱정을 안겼다.

아직 통증이 남아 있는 모태범의 몸 상태는 18일 500m 열리는 2차 레이스에서 가늠할 수 있을 전망이다.

연합뉴스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김경 문화체육관광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4일 정책간담회를 개최한 후 주민소환제도가 도입 취지와 달리 사실상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시민의 직접 민주주의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2007년 도입된 주민소환제도는 선출직 공무원의 책임성을 높이는 중요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18년간 전국적으로 투표까지 진행된 사례가 11건에 불과하며, 해임이 확정된 경우는 단 1건에 그쳤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시는 2019년 은평구의회 의원 소환 청구 외에는 소환 투표로 이어진 사례가 전무하여 제도의 실효성이 매우 낮다고 강조했다. 주민소환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주요 원인으로는 복잡한 절차, 과도한 서명 요건, 부족한 정보 접근성, 그리고 불투명한 행정 처리가 꼽힌다. 청구서 제출부터 서명부 발급, 현장 서명 과정의 번거로움은 시민 참여를 저해하며,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명부 지참이나 서식 작성 오류 시 서명 무효 처리 등은 불필요한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장의 경우 유권자의 10%인 약 82만 5000명의 서명과 더불어 서울시 25개 구 중 9개 구 이상에서 각 구의 10% 이상을 확보해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