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굴의 사자’ 카메룬이냐 ‘다국적 연합군’ 스위스냐 [주목! 이 경기]

‘불굴의 사자’ 카메룬이냐 ‘다국적 연합군’ 스위스냐 [주목! 이 경기]

최병규 기자
입력 2022-11-23 22:02
수정 2022-11-24 04: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오늘 밤 7시 G조 격전 예고

카메룬, 연이은 극장골로 본선행
스위스, 남유럽·아프리카계 주축
이미지 확대
2022 카타르월드컵 조별리그 G조는 남미 예선 12경기 무패 행진(11승1무)으로 스물두 번째 본선에 올라 통산 여섯 번째 월드컵을 노리는 ‘1강’ 브라질을 제외한 나머지 세 팀의 2위 격전장이다. 4년 전 같은 조에 속했던 스위스와 세르비아가 이번에도 차순위 싸움을 벌일 공산이 크지만 카메룬도 그냥 지나치면 섭섭하다.

카메룬의 월드컵 무대는 2014년 브라질 대회에 이어 8년 만이고 카타르가 통산 여덟 번째다. ‘아프리카 돌풍’의 원조를 자처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 1990년 이탈리아 대회에서 강팀들을 연파하면서 8강까지 내달렸기 때문. 당시 로제 밀라라는 걸출한 스트라이커를 앞세운 카메룬은 산시로에서 펼쳐진 조별리그 첫 경기부터 아르헨티나를 1-0으로 제압하더니 2차전 루마니아를 잡아 일찌감치 16강을 확정했다.

그 뒤에도 콜롬비아를 제치고 8강에 오른 카메룬은 잉글랜드에 뼈아픈 연장 역전골을 얻어맞고 돌풍에 종지부를 찍었지만 그 대신 ‘불굴의 사자’라는 별명을 새로 얻었다.

‘별명값’은 이번 예선에서도 증명됐다. 2차, 3차 예선 상대인 코트디부아르와 알제리전에서 카메룬은 탈락 위기에 내몰리다 각각 상대 수비 실책과 연장 인저리 타임에 터진 ‘극장골’ 덕에 모두 극적인 승리를 거두고 천신만고 끝에 카타르행을 확정했다. 예선에서 일어난 기적이 본선에서 일어나지 말란 법은 없다. 물론 더 큰 기적은 ‘어게인 1990’이다.

스위스는 늘 국제축구연맹(FIFA) 랭킹 상위권을 맴돌았지만 딱히 두각을 나타냈던 팀은 아니다. 하지만 최종 예선에서 스위스는 직전 유로2020 챔피언 이탈리아를 조 2위로 밀어내 카타르행을 저지한 장본인이다. 화려하진 않지만 꾸준하다. 매 월드컵 조별리그 통과는 기본이었다. 세르비아와 조별리그 최종전에서 조 2위를 다툴 가능성이 큰 만큼 첫 상대인 카메룬을 상대로 든든한 ‘승점 3’이 스위스에겐 필요하다.

중립국답게 대표팀도 ‘다국적군’이다. 스트라이커 하리스 세페로비치는 보스니아 이중 국적 선수다. 미드필더 데니스 차카리아, 지브릴 소우는 각각 콩고와 세네갈이 뿌리다. 제르단 샤키리는 코소보 알바니아계다. 특히 세페로비치와 공격진을 이끄는 브렐 엠볼로는 이전 조국인 카메룬을 향해 칼을 겨눈다.
2022-11-24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