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농산물 살리는 소비자 조합원 자격·인센티브 제공”
“법을 고쳐 농산물을 사는 소비자에게도 조합원 자격을 주도록 하겠습니다.”김수공(58) 농업경제 대표이사는 27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농업인만 조합원으로 받아들이는 폐쇄적인 농협의 구조를 소비자도 가입할 수 있는 개방적인 구조로 변화시키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농협법 개정을 추진할 생각이다.
김수공 농업경제 대표이사
지난 2일 새로 출범한 농협의 양대 축 가운데 경제(유통) 분야를 지휘하는 김 대표는 주말마다 지역 조합 현장을 찾으며 생산자인 농업인과 소비자인 도시민이 상생할 수 있는 접점을 찾는 데 골몰하고 있다.
김 대표는 “3~5년씩 지력을 길러 유기 농산물을 재배하는 등 산지 농가들의 노력 덕분에 우리 농산물 품질이 좋아졌다.”면서 “이런 농산물에 정당한 값을 지불하는 고객들이 농협 조합원이 된다면 생산자와 소비자가 모두 만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물론 소비자를 조합원으로 받아들여도 당분간 의결권이나 배당권은 주지 않을 작정이다. 대신 할인 혜택 등 별도의 인센티브를 제공할 계획이다.
소비자 조합원을 육성해야겠다는 생각은 농협의 경제사업을 본 궤도에 올리기 위해 생산자뿐 아니라 소비자 참여가 필수적이라는 깨달음에서 출발했다. 김 대표는 “예컨대 배추 농사가 풍작이 들면 밭에서 배추를 갈아 엎어야 하고, 흉년이 들면 수입산 배추가 들어와 농민은 또 손해를 봐야 했다.”면서 “풍년이 들 때 배추 소비를 늘리거나 저온저장 물량을 늘리고, 흉년이 들 때 잠시만 대체 채소를 소비한다면 농민이 행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까지는 농산물 수급 조절이 공급 측면에서만 행해졌지만, 소비 측면에서도 수급조절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신 농협은 도시 소비자들과의 접점인 하나로마트의 쇼핑 편의를 강화하기로 했다. 이마트·롯데마트·홈플러스에 비해 부족한 공산품 판매 비중을 높이고, 바나나 같은 수입 농산물 코너를 따로 갖추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김 대표는 “수입품 판매에 농민들이 거부감을 갖겠지만, 상품 구색을 갖추는 게 우리 농산물 판매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도 있다.”고 단호하게 말했다.
농협에서 38년째 일하고, 그 가운데 33년을 광주·전남 등 지역농협에서 근무한 김 대표가 농민에게 ‘매파’ 노릇만 할 리는 없지만, 그는 농민에 대해 무조건적 지원을 하기보다 자생력을 길러줘야 한다고 연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여러 나라와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는 와중에 피해 농산물 협동조합이 수입 과정에 직접 개입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했다. 감귤 생산자 조합이 오렌지 수입을 주도한다면, 감귤 농사가 망가질 정도로 무리하게 오렌지를 수입할 리가 없고 오렌지 수입으로 인한 수익금을 감귤 산업 발전에 쓸 수 있다는 것이다.
농협은 2020년까지 산지에서 생산된 농산물의 3분의1을 책임지고 팔아주는 판매농협이 되겠다고 선언했다. 2010년 현재 농협이 담당하는 소비지 유통액은 4조 7000억원으로 전체 물량의 10% 수준이다. 김 대표는 “5개 권역별로 물류센터를 건립해 판매·유통망을 구축하고, 출하조절용 비축 수매를 위한 수급안정기금을 신설해 농민이 안정적인 수익을 올릴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글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사진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2012-03-28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