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어 남획 때문…어족 보존 꽃게는 세배 늘어 대조
요즘 갈치는 너무 비싸 ‘금(金)갈치’로 불린다.근본적인 원인은 어획량 감소다. 치어(어린 물고기)를 마구 잡은 결과다. 이 때문에 어업 규제 등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진다.
3일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2006년 6만3천739t인 갈치 어획량은 지난해 3만3천101t으로 급감했다. 5년 새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올해 상반기 어획량은 8천516t으로 작년 동기 대비 19% 급감했다. 반기 어획량이 1만t 이하로 줄어든 것은 처음이다. 상반기 전체 어업 생산량이 4% 늘어난 것과 극명하게 대조된다.
갈치 값은 ‘금갈치’라는 신조어가 나올 정도로 치솟고 있다.
2006년만 해도 ㎏당 1만1천원대인 갈치 도매가격은 2010년 1만6천원대로 오르더니 지금은 1만9천원에 육박한다. 대형마트의 대표 상품이던 갈치는 비싼 가격 탓에 최근 고등어, 오징어보다 잘 안 팔린다.
갈치 어획량의 급감은 어업 자원의 부실한 보존 탓이다.
갈치는 동중국해에서 겨울을 보내고서 4~9월 알을 낳으려고 국내 연안으로 올라온다. 이때 길이가 25㎝도 되지 않는 어린 갈치를 남획하는 어선이 많다.
갈치와 달리 정부가 어족 보존에 적극 힘쓴 꽃게 어업은 정반대 현상을 보인다.
꽃게는 2006년 6천894t이었던 생산량이 지난해 2만6천608t으로 세배 이상으로 늘었다. 알을 낳는 시기에 꽃게를 잡지 못하도록 4~6월과 9~11월에만 어업을 허용하는 등 철저하게 감독한 결과다.
국립수산과학원의 강수경 박사는 “갈치 어획량의 급감은 바다 수온 변화보다는 성어(큰 물고기)가 너무 부족해진 결과다. 꽃게는 반대로 자원 보존에 성공한 대표적인 사례다”고 말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그물코 크기를 조절해 갈치 치어가 잡히지 못하게 하거나 갈치 어업시기를 제한하는 등 갈치 자원을 보존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