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5 정전대란 1주년 점검
지난해 9월 15일 전국을 암흑천지로 만들었던 ‘9·15 정전대란’ 1주년을 맞았지만 여전히 발전소 점검 체계와 발전산업 구조 변화는 미흡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14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정전대란 이후 정부는 지난해 11월부터 정확한 수요 예측을 위해 새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위기 대응 시스템을 개선하는 등 14개에 달하는 세부 과제를 완수했다.
●지경부, 14개 세부과제 완수
이에 따라 올여름 전력 대란 위기를 넘기는 데 국민 절전운동과 함께 이 새 수요 예측 시스템이 한몫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난해 11월 개발한 신규 수요 예측 프로그램을 통해 오차 범위를 평균 1.3% 이내로 줄였기 때문이다. 미국 등 선진국(오차 범위 1.8~2%)보다 정확해진 것이다. 또 주간 예고 참여를 확대하는 등 수요 관리 제도를 개선해 수요 조정을 위한 이행량을 늘린 것도 주효했다. 전력거래소 관계자는 “정확한 전력 수요와 공급 예측 시스템, 확실한 의사결정 체계 구축 등으로 올여름을 무사히 넘겼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여전히 과제도 남아 있다. 우선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소들에 대한 예방 정비 등 철저한 관리를 통해 고장을 최소화하는 한편 고장 시 신속한 복구가 이뤄질 수 있는 시스템이 절실하다.
●“분산형 발전방식으로 바꿔 나가야 대란 없어”
매년 2차례, 총 6개월이 넘는 전력 비상 수급 기간 때문에 현재 보유 중인 발전소를 최대한 가동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예방 정비 기간 단축 등으로 발전소 고장 위험이 커지고 있다. 이번 여름에 잇따라 발생한 발전소 고장은 이를 여실히 보여준 것이라 할 수 있다.
전력업계 한 관계자는 “전력 수급 부족으로 인한 발전소의 예방 정비 기간 단축과 연기 등은 고장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을 수밖에 없다.”면서 “정부는 발전소에 대한 사전 점검 강화와 발전소별 책임 운영제 등 보다 근본적인 전력 공급 능력 확대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권승문 녹색연합 활동가는 “중앙집중식 발전 방식을 분산형 발전 방식으로 조금씩 바꿔 나가고 여기에 스마트그리드(전력계통망 디지털화)와 전력 저장장치(남는 전력을 저장하는 장치) 보급 등이 어우러진다면 전력대란은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2012-09-15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