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카드 수수료 낮추는 간접효과도…성공 여부는 불투명
금융위원회가 추진하는 새로운 전자금융서비스는 편의성을 중시한다.소비자는 두꺼운 지갑 대신 휴대전화만 있으면 된다. 가맹점도 별도의 기기를 들여놓을 필요가 없다. 당국은 직불결제를 늘리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성공 여부는 불투명하지만 신용카드 업계는 긴장상태다. 전자직불결제가 활성화하며 신용카드 시장을 빼앗아갈 수 때문이다. 간접적으로는 신용카드 가맹점 수수료 인하 압박도 받을 수도 있다.
◇큰 편의성에 수수료 절감 효과까지
17일 금융위와 전자금융업체에 따르면 연말께 나오는 새 전자직불결제 서비스는 바코드나 자동응답전화(ARS) 등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전망된다.
사용자는 관련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앱)을 내려받고 앱에 자신의 통장 계좌를 연결한다.
앱을 작동하고 비밀번호를 넣으면 바코드가 화면에 나온다. 계산대에서 바코드 리더로 이를 읽으면 바로 그 자리에서 결제가 이뤄지는 것이다.
ARS 방식은 결제시 미리 입력해 둔 자신의 휴대전화로 ARS 전화가 온다. 전화를 받고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통장에서 자동으로 대금이 빠져나간다.
가입 시 본인인증은 공인인증서로 대체하도록 했다. 그동안은 전자직불지급수단을 발급받으려면 금융회사 창구를 방문해야 해 번거로웠다는 지적을 반영했다.
하루에 결제할 수 있는 금액은 30만 선으로 제한을 둔다. 도난이나 해킹 위험 때문이다. 물론 결제는 통장에 잔고가 있어야 가능하다.
금융위 관계자는 “업계에서 한도액을 50만원 수준으로 늘려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며 “어느 수준이 적정한지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새 결제수단의 가장 큰 장점은 편의성이다. 새 결제수단이 일반화되면 소비자는 주머니 가득 지갑과 휴대전화를 같이 갖고 다닐 필요가 없게 된다.
소득공제도 신용카드보다 많이 받을 수 있다. 현재 신용카드 공제율은 20%, 직불ㆍ티머니(교통)카드는 30%다.
당국은 새 전자직불결제 서비스 공제율이 직불ㆍ티머니카드 수준이 될 것으로 보고있다.
여기에 지난달 발표된 세법개정안이 국회에서 통과되면 내년부터 신용카드 공제율은 15%로 떨어진다. 새 결제수단을 이용하면 상대적으로 더 많은 혜택을 볼 수 있게 된다.
당국으로서는 직불결제가 늘어나니 환영이다. 2010년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신용카드 이용 비중은 41.4%로 미국(15.2%), 영국(8.1%)보다 훨씬 높다.
’있는 만큼 쓰는’ 직불결제가 활성화하면 가계의 카드빚 문제에도 크게 도움이 될 수 있다. 현대경제연구원 박덕배 연구위원은 “젊은 층을 중심으로 소액결제 부문에서 효과가 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장기적으로는 카드사의 수수료 인하 효과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수수료가 싼 직불결제가 늘어나면 입지가 줄어든 신용카드사는 수수료를 낮추란 압박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사업에 참가 중인 일부 업체는 신용카드사와 대형가맹점 간 평균 수수료율인 1.5%보다도 낮은 수수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카드 발급비용도 없고 연체 위험도 없어 수수료가 적을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결제시장 지각변동 예고…성공 여부는 미지수
새로운 결제수단은 최근 일부 은행ㆍ통신사 등이 추진하는 전자지갑 근거리무선통신(NFC) 등과 여러 면에서 다르다.
금융위 관계자는 “새 직불결제수단은 카드사를 배제한 방식”이라고 말했다. 그간의 모바일 결제 서비스가 카드사를 중간에 끼고 수수료를 지급하는 형태였다면 이젠 신용카드 없는 결제를 확산하겠단 것이다.
전자금융업체(PG)가 그 역할을 대신한다. 이니시스, 다날 등 온라인 결제 강자들이 오프라인으로 뛰어들 것으로 보인다. 결제시장의 지각변동이 예고되는 대목이다.
신용카드 업계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수익원을 빼앗길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스마트폰을 많이 쓰는 젊은 층(20대)의 신용카드 이용액은 지난해 4분기부터 계속 줄어드는 상태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직불카드 가맹점이 10만 곳에 불과해 위협이 것으로 보지 않는다”며 애써 평가절하했다.
금융위는 카드업계의 입장은 알지만 어쩔 수 없단 입장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직불결제수단 활성화와 소비자 편의 증진을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전자금융감독규정을 개정해 은행을 직접 찾지 않아도 직불전자지급수단을 발급 가능하게 한 것은 같은 맥락이다.
다만, 새 결제수단의 성공 여부는 불투명하다. 우리나라 모바일 결제 서비스는 10년 전인 2002년 SK텔레콤의 ‘모네타’부터 시작됐다. 그러나 모두 실패했다.
가장 큰 장벽은 소비자다. 그동안 카드를 내밀던 버릇을 끊기 어렵다는 것이다. LG경제연구원 이윤하 선임연구원은 “사람들은 주 사용 결제수단이 있어 습관적으로 그 결제수단을 꺼내 물건을 구입한다”라고 말했다.
그간 신용카드의 각종 부가서비스에 길든 소비자를 설득하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카드보다 휴대전화를 잃어버리기 쉽다는 점과 해킹 등 보안 위험도 우려스럽다.
또 모바일 결제 서비스 간 경쟁이 치열하다. 개별 은행이 직접 모바일 결제 앱을 내놓는가 하면 최근엔 KT와 같은 통신사가 뛰어들었다.
구글은 ‘구글월렛(전자지갑)’을 들고 한국시장 문을 두드리는 중이다. 이른바 모바일 결제 춘추전국시대다. 이른 시일 내에 표준화에 실패할 경우 공멸할 가능성이 있다.
현대증권에 따르면 전체 전자결제 시장은 2009년 12조 4천억 원에서 2011년 19조 8천억 원으로 급성장했다. 올해는 23조 4천억 원까지 규모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이는 대부분 PG 업체들이 차지하고 있다.
이윤하 연구원은 “다양한 결제 수단ㆍ서비스가 나오면 소비자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며 “결과적으론 경쟁을 통한 서비스 질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