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제한폭 확대에 긍정적 반응…외국인 영향력 더 커질수도
정부가 증시 가격제한폭을 현행 ±15%에서 ±30%로 단계적으로 높이기로 한 것은 시장 역동성을 높여 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한 것이다.일단 시장의 반응은 긍정적이다. 시장의 자율적인 가격 결정 기능이 확대되는 한편 증시 변동성 확대로 투자자들의 관심이 커져 거래대금이 늘어날 수 있어서다.
그러나 개인 투자가 많은 중·소형주의 경우 주가가 하루 60%까지 급등락하면 투기가 기승을 부릴 가능성이 크다. 국내 증시에서 큰 힘을 발휘하는 외국인이 시장을 더욱 쥐고 흔들 우려도 있다.
1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연중 최고점은 지난달 30일의 2,082.61이고 최저점은 2월 4일의 1,886.85로 올해 변동 폭은 10.4%에 그쳤다.
지수가 1,880∼2,080선의 박스권에 갇혀 횡보장을 이어왔고 지수 변동 폭이 크지 않다 보니 국내 증시의 탄력이 떨어지고 투자자들이 시장을 외면하는 시간이 길어졌다.
정부가 배당확대에 이어 가격제한폭 확대 카드를 꺼낸 것은 이처럼 박스권에서 맴도는 주가의 변동성을 높이고 이를 통해 투자를 더욱 활성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동안 지수의 박스권 흐름에 답답함을 느낀 시장에서는 이번 정책을 크게 환영하고 있다. 코스피가 박스권을 탈출해 2,100선을 돌파할 것이라는 기대도 커지고 있다.
이경수 신한금융투자 투자전략팀장은 “한국 증시가 다른 국가보다 배당 매력이 없는데다 코스피 변동성까지 역사적 최저 수준으로 떨어져 있다”며 “이번 정책이 역동성에 바람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으로 보여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송흥익 KDB대우증권 연구원은 “미국과 유럽에는 가격제한폭 규제가 없다”며 “외국인 투자를 유도하려면 한국 시장의 시스템도 외국 시장과 비슷한 방향으로 변화하는 게 맞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본다”고 말했다.
증시 가격제한폭이 확대되면 주가가 효율적으로 빨리 형성될 수 있다는 점도 긍정적인 요소로 꼽힌다.
장중에 주가가 15% 이상 오를 만한 재료가 있는데도 15%로 상승 폭이 제한되면 주가가 며칠 간에 나눠서 상승할 수밖에 없다.
이 경우 시장에서는 대량 허위 매수주문으로 상한가를 형성한 뒤 주가가 오르면 팔아버리는 소위 ‘상한가 굳히기’ 수법이 주가조작에 악용되는 경우가 있다. 가격제한폭 확대는 이런 주가조작을 방지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이번 조치는 대형주보다는 주가 변동 폭이 상대적으로 큰 중·소형주에 더욱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가격제한폭이 커지면 투자자들도 투자에 더욱 신중을 기할 것으로 보이는만큼 기업 가치를 보고 투자하는 경우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오태동 LIG투자증권 연구원은 “기업이 가치가 높지 않을 경우 하루에 더 큰 폭으로 급락할 수 있게 되므로 투자자들이 재료나 이벤트보다 기업 가치를 더욱 충실하게 생각하면 투자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시장의 ‘큰 손’이나 투기 세력이 30%에 달하는 가격제한폭을 악용할 경우 자칫 투기로 변질될 우려도 있다.
일반 투자자들이 기업정보보다 시장의 일시적인 투자심리에 따라 투자에 나설 경우 막대한 손해를 볼 수 있다.
은성민 메리츠종금증권 리서치센터장은 “개인들이 많이 투자하는 중·소형주의 경우 큰 손이나 비이성적 매매 등에 의해 가격이 왜곡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확실한 보완장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은 센터장은 “이번 규제 완화는 거래량이나 시가총액 등 일정 기준을 충족하는 대형주부터 적용한 뒤 시장이 안정화하면 점차 확대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도 이런 점을 우려해 변동성 완화장치를 만들어 과도한 가격변동을 제어할 계획이다. 특정 종목의 예상체결가격이 급격히 변하거나 일정 범위를 벗어나면 일정 기간 거래체결을 정지시켜 가격안정을 유도하는 식이다.
김준석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변동성 완화장치는 가격제한폭을 30%로 허용하면서도 쉬엄쉬엄 올라가거나 내려가게 만드는 것”이라며 “하루 안에 주가에 재료가 충분히 반영되면서도 속도를 늦추는 효과를 낼 것”이라고 설명했다.
변동성 완화장치는 한국거래소와 증권사들이 정교한 시스템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준비기간이 수개월은 걸릴 것으로 보인다.
가격제한폭을 30%로 확대하는 방안이 외국인의 투자를 유도하기 위한 점에서는 긍정적이지만 증시가 자칫 외국인의 손에 좌지우지될 수 있다는 점은 우려 사항이다.
국내 수급이 탄탄하지 못한 상황에서 가격제한폭이 확대될 경우 외국인이 시장을 쥐락펴락할 가능성이 더욱 커지기 때문이다.
지난 8일 기준으로 유가증권시장에서 전체 시가총액 대비 외국인 보유비중은 35.51%에 달했고 코스닥시장에서는 10.77%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