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간 550시간 줄어 OECD 1위”
한국 하면 떠오르는 장시간 근로가 지난 20여년간 많이 줄어들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과의 격차가 크게 좁혀진 것으로 나타났다.한국경영자총협회는 11일 ‘근로시간 현황 및 추이 국제비교 분석’을 발간하고 2022년 우리 전체 임금근로자 1인당 연간 실근로시간은 1904시간이며 이는 OECD 평균 1719시간에 비해 185시간 긴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선진국에 비해서는 여전히 근로시간이 길지만 2001년 이후 500시간가량 감소해 OECD 평균 감소폭(47시간)보다 많이 줄었다. 특히 통계적 연속성이 확보된 2011~2022년 한국의 근로시간 감소폭(2119→1904시간, 215시간 감소)은 OECD 평균 감소폭(1739→1719시간, 20시간 감소)의 10.8배에 달했고 OECD 국가 중 감소폭이 가장 컸다.
보고서는 특히 장시간 근로의 정책적 고려 대상인 풀타임 근로자 주당 평균 실근로시간은 기존 인식과 달리 OECD 평균에 비해 크게 차이 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지난해 한국 풀타임 임금근로자의 주당 평균 실근로시간은 42.0시간이었으며 OECD 평균은 40.7시간으로 격차는 1.3시간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덧붙였다. 보고서는 통계 방식 및 노동시장 환경의 국가 간 차이를 고려하면 근로시간 국제비교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한국의 전체 임금근로자 연간 실근로시간이 높다는 것은 맞지 않다고 강조했다.
경총 하상우 경제조사본부장은 “이제는 장시간 근로 국가라는 프레임에서 벗어나 근로시간 유연화와 같이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제도 개선을 적극적으로 도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023-09-12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