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시대에는 소통이 관건이다. 지식, 사람, 상품, 문화, 스포츠 등 무엇이든 외부와의 소통이 원활하지 못하면 경쟁에서 뒤지게 됨은 물론이고 자칫 잘못하다가는 생존 자체가 위협받을 수도 있는 시대이다. 남유럽 국가들이 재정위기를 맞고 있는 것도 외부와의 소통에서 관광 외에는 경쟁력 있는 소통수단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한 것이 하나의 원인이라고 생각한다. 세상과 더 잘 소통할 수 있는 유력한 수단을 확보하는 일은 이 시대 우리 모두의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세상과 소통하는 가장 직접적인 방식은 인적 교류로, 주로 관광을 통해 일어난다. 한국에서 비행기로 12시간 가까이 걸리는 이곳 뉴질랜드가 우리에게 잘 알려진 이유 가운데 하나도 직간접 경제효과가 국내총생산(GDP)의 8.6%를 차지하는 뉴질랜드의 관광산업 때문이다. 영국의 BBC가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관광지 50곳 중 뉴질랜드 남섬의 절경을 4위에 올려놓은 것과 반지의 제왕, 아바타, 쥬라기공원 등 수많은 영화들이 뉴질랜드에서 촬영된 것은 관광지로서 뉴질랜드의 경쟁력을 보여준다.
그런데 지난해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 숫자(979만명)가 뉴질랜드(250만명)에 비해 4배나 많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별로 많지 않다. 한국의 관광 여건이 뉴질랜드에 비해 훨씬 더 좋다는 방증이다. 뉴질랜드와 달리 주변에 많은 인구를 가진 중국과 일본이 있고 동남아, 유럽과의 거리도 거의 절반에 불과하다. 뉴질랜드가 관광자원으로 주로 자연환경을 내세우지만 우리나라는 오랜 역사와 문화유산, 한류, 역동적인 도시문화 등 볼거리가 훨씬 많고 다양하다. 세계 9위의 무역규모에 걸맞게 비즈니스맨들의 방문도 많아서 앞으로 우리나라 관광산업의 발전 전망은 매우 밝다.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으로 보자면 무역보다 더 중요한 소통도 없을 것이다. 2000년대 들어 세계 각국이 자유무역협정(FTA)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은 상품의 활발한 소통이 국가의 경쟁력을 높이기 때문이다. 시장에서 통하는 상품을 만들고 유통시키는 것은 기업의 몫이지만 자국 기업에 조금이라도 유리한 경쟁의 무대를 만들어 주는 것은 정부의 중요한 역할이 되었다. 무역 순위가 전 세계에서 60위권에 머물고 있는 뉴질랜드이지만 2000년대 들어 모두 13개국과 FTA를 발효시키고, 중국·인도 등 아시아와의 교역확대에 국가의 미래를 걸다시피 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상품의 소통이 활발해지면서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점점 더 심해지는 승자독식 현상이 그것이다. 한국의 대표적인 기업이 만든 스마트폰이 외국 경쟁자들을 따돌리고 독주하는 것도 승자독식의 전형적인 사례이다. 1등을 못하면 이익을 남기기가 쉽지 않은 세상이 됐다. 국가별 산업도 마찬가지이다. 국제 경쟁에서 조금이라도 뒤지는 산업은 이제 그 나라에 남아 있기가 어렵다. 한때 자동차와 가전제품까지 만들었던 뉴질랜드가 지금은 농·목축업에 집중할 수밖에 없는 처지가 된 것도 같은 이유일 것이다. 적당히 살아가기가 매우 어려워진 시대가 되면서 각 분야에서 승자가 되지 못하면 생존을 보장받을 수가 없게 된 것이다.
기업이 소비자와 소통하는 방식도 다양해지고 있다. 아직도 상품의 기능과 품질만 믿고 판매 확대를 바라는 우리 기업이 있다면 큰일이다. 이곳 뉴질랜드는 물론이고 세계 시장에서 우리는 유럽, 미국, 일본 등 선진국 상품과 겨루면서 시장을 확대해야 하는 쉽지 않은 상황을 맞고 있다. 그래서 브랜드, 기업이미지, 국가이미지 등에서 선진국에 밀리지 않는 경쟁력을 확보하는 일이 매우 절실해졌다. 이 문제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브랜드 인지도 제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활동 등 우리 기업의 독자적인 노력에 더하여 국가 이미지 제고를 위한 정부 차원의 체계적인 지원도 더욱 강화해야겠다.
좋든 싫든 외부와 소통하면서 살아야 하는 시대이다. 대외지향성이 강한 우리에게 이 흐름은 기회가 될 가능성이 크다. 이제 소통전략이 생존전략인 셈이다.
장수영 코트라 뉴질랜드 오클랜드 무역관장
그런데 지난해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 숫자(979만명)가 뉴질랜드(250만명)에 비해 4배나 많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별로 많지 않다. 한국의 관광 여건이 뉴질랜드에 비해 훨씬 더 좋다는 방증이다. 뉴질랜드와 달리 주변에 많은 인구를 가진 중국과 일본이 있고 동남아, 유럽과의 거리도 거의 절반에 불과하다. 뉴질랜드가 관광자원으로 주로 자연환경을 내세우지만 우리나라는 오랜 역사와 문화유산, 한류, 역동적인 도시문화 등 볼거리가 훨씬 많고 다양하다. 세계 9위의 무역규모에 걸맞게 비즈니스맨들의 방문도 많아서 앞으로 우리나라 관광산업의 발전 전망은 매우 밝다.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으로 보자면 무역보다 더 중요한 소통도 없을 것이다. 2000년대 들어 세계 각국이 자유무역협정(FTA)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은 상품의 활발한 소통이 국가의 경쟁력을 높이기 때문이다. 시장에서 통하는 상품을 만들고 유통시키는 것은 기업의 몫이지만 자국 기업에 조금이라도 유리한 경쟁의 무대를 만들어 주는 것은 정부의 중요한 역할이 되었다. 무역 순위가 전 세계에서 60위권에 머물고 있는 뉴질랜드이지만 2000년대 들어 모두 13개국과 FTA를 발효시키고, 중국·인도 등 아시아와의 교역확대에 국가의 미래를 걸다시피 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상품의 소통이 활발해지면서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점점 더 심해지는 승자독식 현상이 그것이다. 한국의 대표적인 기업이 만든 스마트폰이 외국 경쟁자들을 따돌리고 독주하는 것도 승자독식의 전형적인 사례이다. 1등을 못하면 이익을 남기기가 쉽지 않은 세상이 됐다. 국가별 산업도 마찬가지이다. 국제 경쟁에서 조금이라도 뒤지는 산업은 이제 그 나라에 남아 있기가 어렵다. 한때 자동차와 가전제품까지 만들었던 뉴질랜드가 지금은 농·목축업에 집중할 수밖에 없는 처지가 된 것도 같은 이유일 것이다. 적당히 살아가기가 매우 어려워진 시대가 되면서 각 분야에서 승자가 되지 못하면 생존을 보장받을 수가 없게 된 것이다.
기업이 소비자와 소통하는 방식도 다양해지고 있다. 아직도 상품의 기능과 품질만 믿고 판매 확대를 바라는 우리 기업이 있다면 큰일이다. 이곳 뉴질랜드는 물론이고 세계 시장에서 우리는 유럽, 미국, 일본 등 선진국 상품과 겨루면서 시장을 확대해야 하는 쉽지 않은 상황을 맞고 있다. 그래서 브랜드, 기업이미지, 국가이미지 등에서 선진국에 밀리지 않는 경쟁력을 확보하는 일이 매우 절실해졌다. 이 문제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브랜드 인지도 제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활동 등 우리 기업의 독자적인 노력에 더하여 국가 이미지 제고를 위한 정부 차원의 체계적인 지원도 더욱 강화해야겠다.
좋든 싫든 외부와 소통하면서 살아야 하는 시대이다. 대외지향성이 강한 우리에게 이 흐름은 기회가 될 가능성이 크다. 이제 소통전략이 생존전략인 셈이다.
2012-08-0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