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광 스님·한국명상심리상담연구원장
정신치료의 원조인 프로이트는 치료의 목적을 비정상적인 신경증을 정상적인 신경증으로 전환하는 것을 최대 목표로 삼았다. 반면에 불교 수행에 기반을 둔 명상 치유는 완전한 치료가 가능하다고 한다. 따라서 명상을 심리치료에 접목하는 데 관심을 두었던 초기 연구자들이 완전한 치료를 전제로 하지 않는 심리치료와 명상 치유를 구분해 사용하기 위해서 ‘치료’라는 말 대신 ‘치유’라는 용어를 사용했던 것이다.
치유의 진원지인 미국에서 그 원동력은 크게 두 가지다. 첫째는 정신치료와 불교 명상의 만남이고, 그 다음은 뇌과학과 불교 명상의 만남이다. 전자는 과학의 한 분야로 성장해 온 서양 심리학이 불교의 명상 수행을 심리학의 연구 주제에 포함시키고, 명상 기법을 치료 과정에 도입함으로서 불교의 지혜와 자비, 깨달음을 일상의 삶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현실에 맞게 적용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후자는 주관적인 명상 체험을 과학적·합리적·객관적 방법에 의해 연구하고 입증함으로써 불교 명상이 심리치료에서 하나의 거대한 흐름으로 자리 잡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나아가 이들의 만남은 단순한 개인적 건강, 치료의 차원을 넘어 인간 문제의 궁극적 해결을 위해 다양한 학문, 과학 분야들과 연대하면서 사회조직, 교육, 환경, 경제, 군사, 생태 등 사회 전반을 치유의 대상으로 확대하고 지속적으로 힐링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그런데 어떤 사람들은 정신치료와 달리 힐링이 어떻게 우리가 일상에서 직면하는 모든 문제들, 다양한 개인적 사회적 문제를 완전하게 치유해 줄 수 있는지 그 근본적인 치유 기제가 궁금할 것이다. 부처님의 가르침에는 우리 인간이 고통하는 수만큼이나 셀 수 없이 많은 힐링의 종류들이 있다. 이들 힐링의 만능 치료 기제 가운데는 마주 짝을 지워서 치료해야 한다는 의미로서 대치법(對治法)이라 불리는 치유법이 있다. 예를 들어 동창 모임에 나갔다가 명품백, 명품구두에 값비싼 차를 탄 친구 앞에서 자신도 모르게 주눅이 들었다고 치자. 어떻게 주눅이 드는 마음을 치유할 수 있을까? 명품백, 명품구두에 값비싼 차를 타는 사람들 앞에서 주눅이 든다면 단 한 번의 사유, 즉 자기보다 경제적으로 훨씬 어려운 사람들 앞에 갔을 때 어떤 태도를 취하는지 돌이켜 생각해 보면 된다. 분명 가난한 사람 앞에 가면 우쭐대는 마음이 생겨날 것이다. 자기보다 못났다고 생각하는 사람 앞에 가서 잘난 척하면서 자기보다 더 잘났다고 생각하는 사람 앞에 가서 주눅이 들지 않는 것은 절대 불가능하다.
주눅이 들지 않는 유일한 방법은 형편이 더 어려운 사람 앞에서 잘난 척하지 않는 것이다. 자기보다 형편이 어려운 사람을 무시하는 사람은 반드시 자기보다 형편이 나은 사람 앞에서 무시받는 느낌을 갖게 된다. 상대가 실제로 무시했나 무시하지 않았나는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것은 자기가 다른 사람을 무시하기 때문에 상대방과는 관계없이 스스로 무시를 받게 된다는 사실이다. 그러한 원리를 모르면 형편이 더 나은 사람에게 질투심·공격성을 품게 되고, 마음에 비굴심이 생겨나게 돼 스스로를 무시하고 화와 불만족이 쌓이게 된다. 대치법은 열등감과 우월감 콤플렉스를 잠재우는 최고의 치유법이다.
2014-11-29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