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승종 한국기술교육대 겸임교수
어떤 사람이 새로 관청에 부임하면 모든 일거리를 그 사람에게 떠넘겼다. 모든 일이 낯설었건만, 신임 관리에게 누구도 일을 가르쳐주지 않았다. 그는 하루에도 몇 번씩 크고 작은 실수를 저지르기 마련이었고, 그때마다 기다렸다는 듯 벌주를 마셔야 했다. 이 술은 단 한 방울도 사양하지 못하는 것이 철칙이었는데, 단숨에 마시기에는 양이 너무 많았다. 신임 관리는 날마다 관복을 술로 흠뻑 적시는 것이 일이었다. 직무를 가르치기 위해서였다고 변명할지 몰라도 명백한 월권이요, 폭력이었다. 얼마 전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었던 간호사들의 ‘태움’도 유사한 악습이 아니었을까.
그때 조광조의 단짝 친구 김식이 형조의 낭관 자리에 임명되었다. 선임자들은 사사건건 이유를 들이대며 그에게 벌주를 강요했으나 김식은 마시기를 거절하였다. 모두 합세해 그를 왕따로 만들어 놓았으나, 그는 굽히지 않았다. 김식은 조금이라도 이치에 어긋나면 타협도 용서도 없는 굳센 성격의 인물이었다. 그는 유교 경전에 해박하였을 뿐만 아니라 성품 역시 대쪽처럼 곧았다.
개혁 정국이라 해도 조정에는 훈구파가 곳곳에 도사리고 있었고, 그들과 뜻이 통하는 개혁 반대세력이 많았다. 그들은 입을 모아 김식의 처신을 비난했다. 관례를 무시한 김식의 돌출 행위 때문에 선비들의 미풍양속이 장차 무너질 지경이라며 다들 수군거렸다.
조광조의 동료들은 대간을 중심으로 김식을 강력히 옹호하며, 어진 선비를 마땅한 이유도 없이 괴롭히는 조정의 폐습을 뿌리 뽑자고 주장했다. 조정이 개혁과 보수의 패거리로 나뉘어 사사건건 충돌하리라는 불길한 예감을 선사하는 사건이었다.
조광조와 김식이 누구인가. 그들은 유교 경전에 드러난 성현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현실사회의 부조리를 날마다 하나씩이라도 뜯어고치려고 했다. 한꺼번에 다 바로잡지는 못할 망정 시비를 가려 오래된 폐습을 조금이라도 없애려 노력했다. 하지만 그들이 믿을 만한 우군으로 여긴 중종은 그저 안락하게 살기를 원할 뿐, 근본적으로 세상을 바꾸려는 생각은 없었던 사람이었다. 그러므로 훈구대신을 비롯한 보수파 전체의 반발이 곧 일어나리라는 점은 쉽게 짐작할 수 있는 일이었다.
후세는 조광조와 김식 등이 지나치게 성급했다고 평가했다. 맞는 말인지 모르겠다. 조광조야말로 무슨 일이든지 서두르는 것을 몹시 싫어하였다. “하루아침에 성현의 가르침대로 실천하기는 어렵습니다. 서두르면 도리어 실패하고 맙니다. 우리나라는 이제 기틀이 잡혔다고 하겠으나 모든 일을 한꺼번에 바꾸려 하면 안 됩니다.”(실록, 중종 13년 7월 27일)
천천히 조금씩, 꾸준하게 바꾸자는 것이 조광조 등의 본래 목표였다. 그들의 노력 덕분에 조선 사회에 몇 가지 변화가 일어나고 있었던 참이다. 선비들이 ‘소학’이란 유교식 도덕 교과서를 애독하기 시작했고, 성리학에 관한 연구도 본궤도에 오르고 있었다. 만약에 중종이 지속적인 개혁을 원했더라면 장차 제법 큰 효과를 기약할 수도 있었겠다.
그런데 중종은 우유부단하고 겁이 많았다. 그는 조광조나 김식과는 어울리지 않는 평범한 인물이었다. 조광조 등은 공연히 애먼 데 공을 들이다 결국 실패한 셈이었다. 그러나 어찌하겠는가. 신하가 왕을 마음대로 고를 수 없었듯, 지금 이 밝은 세상에도 애초 잘못된 만남이 적지 않은 듯하다. 요즘 신문을 펼쳐 들면 왜 자꾸 이런 생각이 드는가.
2020-11-2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