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승범 서강대 사학과 교수
문득 한 20년쯤 전의 일이 떠오른다. 당시 한글파일을 수호하자는 일종의 ‘민족운동’이 온라인에서 들불처럼 일었다. 최근의 ‘동학개미운동’과도 얼추 흡사했다. 한글을 마이크로소프트(MS)사에 넘겨줄 수 없으니 국권을 수호하자는 정서가 어필하면서 운동을 성공시켰다. 거의 망해 가던 한글파일을 되살렸다. 하지만 세월이 또 흘러 국제화가 가일층 심해지면서 젊은 세대일수록 워드를 선호한다. ‘민족’과 ‘국제화’라는 두 개의 틀이 또다시 이 땅에서 ‘평화적으로 충돌’하는 전환기적 국면이다.
그래서 학생들의 생각을 들어 봤다. 가장 큰 이유는 호환성 문제였다. 요즘 급증하는 맥북 사용자라면 거의 다 워드를 쓴다. 맥북에서는 한글파일 편집이 안 되거나 여러 차례 변환해야 하는 불편함 때문이다. 아이패드에서도 워드가 문서 작성과 편집에 적합하다. 또한 PDF에서 워드로 변환하기는 쉬운 데 비해 한글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은 별로 없으며 있더라도 글자가 많이 깨진다. 요컨대 컴퓨터 사용 환경이 빠르게 변하면서 워드파일의 호환성이 압도적으로 좋아졌다. 워드 프로그램과 뷰어는 거의 모든 기기와 운영체제(OS)에서 기본으로 제공한다. 웹상에서도 호환성이 좋아 어디서든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해 접근할 수 있다.
한글 프로그램 자체의 불편함도 큰 이유다. 워드는 MS사의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엑셀, 파워포인트와 같은 자사 프로그램과의 호환성이 뛰어나다. 반면 한글은 그런 호환성이 떨어져 문서 작업 시 큰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엑셀의 표를 가져오면 다 깨져 버린다. 파워포인트와 비슷한 수준의 도형을 그리기도 어렵다. 엑셀과 파워포인트를 사용하는 학생이라면 이 작은 불편함을 크게 느낀다.
한글은 발매 초기부터 독자적인 내부 규격을 가진 프로그램으로 발전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른 지금 기기, OS, 클라우드 서비스, 프로그램 등 모든 부분에서 호환이 불편한 프로그램으로 전락했다. 바로 이 점도 주머니가 가벼운 학생에게는 크게 와닿는 부분이다. 워드는 모든 기기나 웹상에서 접근성이 뛰어나므로 (실제로 가격에 포함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료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한글은 불법이 아닌 한 구매해야 하므로 유료라고 인식한다. 본질은 호환성이지만 사용자의 비용 문제 인식도 중요하다.
현재 대학 1, 2학년은 밀레니엄 세대다. 한글을 살리자는 ‘한글개미운동’ 즈음에 태어났으니 그들에게는 조선 시대처럼 머나먼 옛날이야기일 뿐이다. 고등학교에서 배운 게 있어 ‘민족’을 가슴에 품고는 있지만 편리성과 효율성을 앞세운 문화적 선택에는 주저함이 없는 신세대다. 이들은 한국인이자 이미 글로벌 지구인이다.
국내 산업을 무조건 개방할 수는 없겠지만 가능한 한 조속히 개방해 국제 경쟁력을 기르는 게 중요하다. 해방 후 가장 먼저 개방된 분야는 아마 대중음악과 영화일 것이다. 미국의 융단폭격을 받았다. K팝과 K영화의 글로벌 약진을 70년 개방의 역사를 빼고 제대로 설명하기는 어렵다. 한글이란 소프트웨어보다는 그 문서에 담을 콘텐츠가 훨씬 더 중요하다. 한국사 분야도 마찬가지다. ‘국학’이라는 이름으로 나라의 보호를 받는 학문분과일수록 국제 경쟁력은 떨어지는 게 현실이다. 계급장 떼고 국제적 링에 올라 제대로 싸워 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2021-03-26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