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례 2013. 담장에 기댄 참깨는 곧 고소한 참기름이 된다.
승리한 프랑스어는 영어를 파묻어 버렸다. 정복왕 윌리엄과 귀족들은 잉글랜드에 프랑스어 사용을 강요했다. 영어는 가련하게도 자기 나라에서도 프랑스어와 라틴어에 이어 3등 언어로 전락했다. 영어를 사용하던 가난한 농부들은 오두막집에서 살았고, 프랑스어를 사용하던 지배계급은 돌로 지은 성에서 살았다. 농부들은 ‘ox’(황소) 또는 ‘cow’(소)로 불리는 가축을 길렀다. 프랑스어 사용 귀족은 프랑스어로 ‘beef’(소고기)라고 부르는 요리를 먹었다. 영어의 ‘pig’(돼지)는 프랑스어로 ‘pork’(돼지고기)가 됐다. 이 모든 예에서 영어는 ‘동물’을, 프랑스어는 ‘고기’를 뜻한다. 잉글랜드인은 ‘노동’을 했고, 프랑스인은 ‘고기’를 즐겼다. 영어 단어들에는 둘 사이의 계급적 차등이 반영돼 있다.
그런데도 이 단절은 영어에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작용했다. 이 어려운 시기에 영어는 프랑스어를 하나의 층위로, 즉 대체수단이 아니라 영어를 더욱 풍요롭게 만드는 방향으로 받아들였다. 영어 ‘ask’와 프랑스어에서 온 ‘demand’는 처음에는 같은 목적으로 사용됐지만, 중세를 거치면서 의미에 변화가 생겼다. 현재 영어권은 두 단어를 매우 다른 용도로 사용한다. ‘ask’는 간곡히 ‘부탁한다’는 뜻이지만, ‘demand’는 명령조로 ‘요구한다’는 의미다.
한때 프랑스어가 영어를 완전히 대체할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그렇게 되지 않았다. 오히려 영어 단어의 의미가 세분화함으로써 사고의 명확성과 표현의 정확성이 커졌다. 어휘의 풍부함과 다양성은 영어에 놀랄 만한 정확성과 유연성을 가져다주었다. 영어가 프랑스어에 가한 ‘달콤한 복수’였다. 영어는 노르만 정복을 이용해 오히려 영어의 힘을 길렀다. 이것이 영어의 아름다움이다. 약점에서 강점을 끌어냈다. 영어가 세계어가 된 이유 중 하나는 ‘덧셈의 언어’이기 때문이다.
한글날이면 언어순결주의의 목소리가 커진다. 유입된 단어를 없애고 순수한 우리 말글을 지키자는 ‘뺄셈’ 주장이다. 일면 타당하지만, 극단적 순수주의는 위험하다. 달콤한 복수로 반전을 도모하는 건 어떨까.
2021-10-0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