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의 사회면] 그때의 ‘아듀!’

[그때의 사회면] 그때의 ‘아듀!’

손성진 기자
입력 2019-12-29 17:30
수정 2019-12-30 01: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금은 철거된 서울 삼일고가도로의 자동차 불빛 궤적을 담은 사진과 함께 실은 송년 기사(매일경제 1972년 12월 29일자).
지금은 철거된 서울 삼일고가도로의 자동차 불빛 궤적을 담은 사진과 함께 실은 송년 기사(매일경제 1972년 12월 29일자).
12월 말이면 신문들은 송년사를 실었다. 이때만큼은 알쏭달쏭한 미사여구나 현학적인 표현도 허용됐다. 부푼 꿈을 안고 시작한 새해는 연말이면 늘 아쉬움이 가득했었다. 곁들인 사진의 단골 소재는 삼일고가도로의 명멸하는 차량 불빛이나 서울의 야경이었다.

“산다는 것이 문뜩 두렵고 세월이 아쉬워진다. 그러나 가는 세월과 얻은 인생은 저버릴 수 없는지, 가는 그믐밤의 발자국 속에 한 해의 쓰라렸던 기억과 상처는 묻혀 보내는 것이 좋다.”(1963년)

“제야의 종소리 구슬피 울리는 속에 1967년도 이제 저물어간다. 빌딩의 창가에 불야성의 밤이 켜지고 성탄의 뒷맛이 달콤한 황홀 속에 또 하나 미완의 장(章) 67년은 손을 저으며 과거로 사라져 가지만, 누구 하나 만신창이에 물러가는 시간의 위로의 손길을 얹는 지각을 지니지 못했고….”(1967년)

“가슴처럼 허전한 리리시즘, 그 위에 또다시 구슬피 잦아드는 서정을 버리고 또 닻을 올려야 할 우리들의 길…. 그러나 제야의 종소리에 가슴을 용해시킬 겨를이 우리에겐 없다. 어서 나침반을 일깨우고 닻을 올려 세계의 바람을 타고 대해로 나가자.”(1968년)

“고속도로가 시원하게 뻗어나가 근대화로 향하는 고속의 해가 됐다. 휘황찬란한 네온사인과 줄 이은 차량의 불빛 속에 70년이 고요히 막을 내린다. 움츠렸던 가슴일랑 활짝 펴고 고달픔과 시달림, 아픔과 쓰라림을 떨쳐 버리고 올해에 이루지 못한 일은 새해의 푸른 꿈에 담아 보자.”(1970년)

“설령 가책이 많았고 잘잘못을 거듭했던 해였다고 생각되더라도 안개가 서린 자리에서 감정을 멈추자. 헤어짐은 섭섭한 것이지만 희망 속에 사는 인생들이기에, 잘 가거라 신해(辛亥)여.”(1971년)

“시련과 극복으로 점철된 다사다난한 한 해였다. 경제적 불황과 물가고, 어수선했던 사회현상들. 우리가 겪었던 상처와 아픔은 그 어느 때보다 깊었다.”(1974년)

“좀더 잘사는 나라, 응어리진 민족의 비원(悲願)이 훌훌 풀어질 새해가 되기를 바라며.”(1975년)

“한반도의 저 혈맥, 고속도로의 심야 질주를 보라. 이 순간에도 멈춤이 없는 저 쾌속으로 새로운 가능성을 향해 전진하자.”(1976년)

“내일의 풍요를 신앙처럼 믿어 온 어진 백성들은 농촌에서, 남국의 정글에서, 아라비아의 열사(熱沙)에서 보릿고개의 슬픈 유산을 훌훌 털어버리고…. 지나친 물질 추구가 빚어낸 황금만능, 가진 자와 안 가진 자의 갈등 등 아쉬움과 반성을 남긴 채 보내는 79년, 70년대이기도 하다.”(1979년)

손성진 논설고문 sonsj@seoul.co.kr

■ ‘그때의 사회면’은 끝내고 새해부터 새 연재물을 싣습니다.
2019-12-3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