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지민 사회부 기자
우리는 잡동사니와 생활쓰레기를 쌓아 두고 사는 집을 ‘특이한 사람의 기이한 행동’으로 다뤄 왔다. 신기한 사연을 소개하는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해 시청자들의 놀라움을 자아내는 괴짜 노인의 일 정도로 취급했다. 그러나 쓰레기집은 특정 세대나 괴상한 소수에게만 일어나는 현상이 아니다. 우울증·무기력증·외로움 등 심리적으로 아픔을 겪는 누구나 마주할 수 있는 일이다.
쓰레기집이 기이한 현상으로 인식되는 사이 쓰레기집 거주자들은 집 안으로 꼭꼭 숨어 버렸다. 서울신문이 229개 기초 지방자치단체에 정보공개청구를 신청해 집계한 결과, 2018년부터 올해 3월까지 지자체가 파악하고 있는 쓰레기집 의심 가구는 1350곳으로 드러났다. 쓰레기집이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는 현실을 고려하면 이보다 훨씬 많은 사람이 쓰레기집에 살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신문이 보도한 ‘쓰레기집에 사는 사람들’ 기획기사에 실린 쓰레기집 사례 5건 중 3건은 지자체에서 파악하지 못한 사례였다.어렵사리 쓰레기집을 발굴해도 이들을 세상 밖으로 끌어내기란 쉽지 않다. 청소를 도와주겠다고 설득해도 거주자들이 거절하는 이유 중 하나는 ‘우리 집이 쓰레기집이라는 사실이 이웃에게 알려질까 봐’서다.
중앙 정부는 쓰레기집을 사회문제로 보지 않는다. 쓰레기집 현상이 최근 2~3년 사이 수면 위로 드러나기 시작한 것을 고려하면 갈 길이 멀다. 쓰레기집 안에는 우리 이웃들의 아픔이 있다. 아동학대, 고독사, 극단적 선택 등 범죄 및 사망 사건으로 연결될 수 있어 관리가 필요하지만 국가는 쓰레기집 실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있지 않다. 실태조사는커녕 저장강박 유병률조차 집계하지 않는다.
논의를 더는 미뤄선 안 된다. 국가가 사적 공간인 개인의 주거공간에 개입할 수 있는 범위는 어디까지인지, 공적 지원은 어느 선에서 이뤄져야 하는지, 지원이 필요한 쓰레기집 기준은 무엇인지 등 정할 것이 한둘이 아니다. 1인 가구 비중이 처음으로 40%를 넘어서고 코로나19로 본격적인 비대면 소통시대에 진입한 상황에서 쓰레기집은 점점 늘어날 수밖에 없다. 외면과 무관심이 능사가 아니란 얘기다.
2021-10-13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