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
사실 스웨덴은 코로나19 초기에 집단면역을 고려하긴 했지만 1차 유행 초반 확진자와 사망자가 급증하자 곧 방향을 전환했다. 다른 유럽 국가들처럼 록다운과 같은 강한 억제정책을 실시하지는 않았지만 우리나라의 사회적 거리두기 같은 정책은 꾸준히 추진했다. 그럼에도 7월까지 확진자는 9만여명, 사망자도 6000명이 넘게 발생했다.
스웨덴은 7~8월에 일시적인 소강상태가 왔을 때 사회적 거리두기를 완화했지만 9월 이후 다른 유럽 국가들처럼 2차 유행에 직면해 있다. 7~8월의 환자 감소는 집단면역 때문이 아니었다는 게 분명해졌다.
최근 미국에서도 감염병 전문가 일부가 그레이트 배링턴 선언을 발표하고 백악관에서 이 선언을 진지하게 고민하겠다고 하면서 집단면역 논쟁이 벌어졌다. 치명률이 높은 60대 이상 고위험군은 철저히 보호하는 한편 60대 미만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완화해 일상생활을 시작하고 어느 정도 코로나19의 유행을 용인하면서 점진적으로 집단면역을 달성하자는 내용이다.
이에 반발하는 감염병 전문가들은 최근 19세기 영국 런던에서 발생한 콜레라가 오염된 식수 때문이라는 걸 밝혀냈던 존 스노의 이름을 딴 존 스노 서한을 발표했다. 젊고 활동적인 사람들이 지역사회 유행을 촉발하며, 이는 곧 고령층 고위험군에 감염을 전파해 인명 피해로 이어진다고 경고했다.
고위험군을 완벽히 격리하는 건 불가능하고 면역 유지 기간도 불분명하기 때문에 집단면역에 대한 환상을 반박했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 기회 있을 때마다 강조하는 원칙 역시 이와 다르지 않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어떤 전략을 선택해야 할까. 우리나라는 그동안 선제적인 방역정책과 전 국민의 자발적 사회적 거리두기 동참을 통해 전국적인 봉쇄 없이 유행을 최소화하면서 지금까지 버텨 오고 있다. 지난 6월 유엔이 펴낸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보고서에서도 방역과 경제의 균형을 통해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가장 지속가능한 발전이 가능한 국가로 한국을 지목했다.
우리는 지금 코로나19로 인한 중대한 시험대에 놓여 있다. 선제적이고 효과적인 방역정책, 국민들의 자발적인 사회적 거리두기가 앞으로도 유효한 전략이라는 건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여기에 더해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코로나19로 인한 피해도 감당 가능한 수준으로 지켜 가야 하는 게 중요한 과제가 됐다.
취약계층의 피해와 국민의 피로도, 코로나 블루로 불리는 정신건강상의 문제 역시 정부와 민간이 머리를 맞대고 해결책을 찾아가야 한다. 지금 우리가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앞으로 몇 년, 아니 수십 년 뒤 미래가 달라질 것이다.
2020-10-2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