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
미국에서 하루 신규 확진자가 지난 14일 기준 17만명을 넘어섰고 하루 사망자는 1000명 넘게 나오고 있다. 유럽도 상황이 비슷하다. 이탈리아는 하루 4만명 확진에 550명이 사망, 영국은 2만 7000명 확진에 376명이 사망했다.
올해 봄에 앤서니 파우치 미국 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장이나 정은경 질병관리청장 모두 가을에 2차 대유행이 생길 수 있으므로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했다. 1차 유행을 겪은 후에 국가마다 여러 이유로 대비는 늦어졌고 사람들은 길어지는 코로나에 지쳐가고 경제는 계속 어려운 속에서 2차 대유행 조짐이 7월부터 보였지만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다 전 세계적인 2차 대유행이 벌어지고 있다.
2차 대유행 시작 초기에 의료체계가 1차 유행을 겪은 후라 어느 정도 버티기는 했지만 유행이 길어지고 더 커지면서 환자가 많이 발생한 국가부터 하나씩 의료체계가 붕괴될 조짐을 보이더니 곧 사망자도 급속히 늘기 시작했다.
경제와 방역은 대척점에 있지 않다. 선제적인 방역으로 코로나19 유행을 최소화하면 경제도 타격을 덜 받는다. 취약계층 지원을 충분히 해 모두 함께 이 위기를 잘 넘어설 수 있게 하는 것이 국가의 역할이다. 5월까지의 유행 상황에서 방역과 경제의 균형을 가장 잘 잡아 나간 국가로 우리나라가 꼽힌 것도 우리의 선제적 방역이 경제에 대한 타격을 최소화했기 때문이었다.
아직까지 우리는 효과적인 백신이나 치료제를 가지고 있지 않고 우리의 코로나 대응 병상과 중환자실은 유행 초기보다 획기적으로 늘어나지도 않았다. 그러기에 아직도 유효한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를 통해 지금의 위기를 다시금 이겨내야 할 때이다. 사회적 거리두기의 효과를 연구하는 수학적 모델링에 따르면 사회적 거리두기의 단계 격상을 2~3주 늦게 할 경우 확진자와 중환자의 발생은 몇 배에서 몇십배까지 증가한다고 한다. 우리나라에 좋은 속담이 있다.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게 된다.’
대학수학능력평가도 얼마 남지 않았다. 수학능력평가 전 2주 동안은 특별방역주간이 선포된다고 한다. 지금의 유행 상황이 악화되지 않도록 해서 수능을 위해 몇 년을 준비한 학생들이 피해를 보지 않도록 했으면 한다.
1, 2차 유행의 상황에서 시민들이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격상보다 먼저 움직였다는 기록들이 남아 있다. 이번에도 시민들이 먼저 움직일 때다. 망년회도 올해만은 포기하자. 어쩌면 이번 겨울이 우리에게 코로나19가 주는 가장 혹독한 시련이 될 수도 있다. 이번 겨울을 잘 지내 몇 년 후 지금을 돌이켜볼 때 서로에게 격려하고 축하할 수 있는 미래를 가졌으면 한다.
2020-11-1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