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7 분당을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여당 후보는 좌파로부터 나라를 지켜 달라고 호소했지만 선택받지 못했다. ‘제2의 강남’으로 불리는 대표적인 중산층 밀집 지역에서 색깔론은 통하지 않았다. 살 만큼 산다는 동네에서조차 ‘못살겠다 갈아 보자.’는 자유당 시절 구호가 나부낀 마당에 무슨 이념을 기대하겠는가. 경제적 실리를 좇는 이익 투표의 양상만 도드라졌다.
20년 보수 아성의 반란에서 보듯 우리 사회의 양극화 혹은 상대적 박탈감은 특정 지역이나 계층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다. 시대의 질병이다. 국세청 자료에 따르면 종합소득세 상위 20%의 소득이 하위 20%보다 45배나 많다. 상위 20%가 전체 부의 80%를 차지하는 ‘20대80 사회’가 눈앞의 현실로 다가온 것이다. 격차 사회의 고착화는 재앙이다. 어떻게든 막아야 한다.“미국이 망한다면 양극화 때문일 것”이라는 미국 경제학자 밀턴 프리드먼의 경고는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소득격차에 따른 계층 간 위화감은 사회통합이 불가능할 정도다. 좌절과 분노로 가득 찬 위험사회에 우리는 살고 있다. 어떻게 양극화의 낭떠러지를 향해 질주하는 폭주 기관차를 멈춰 세울 수 있을까. 먼저 고장난 분배 시스템을 손질해야 한다. 사라진 계층 이동의 사다리를 다시 놓아야 한다. 그러려면 지배적인 기득권 집단부터 나눔의 수범을 보이는 수밖에 없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전망 부재다. 사회주의 용어인지 공산주의 용어인지 모르겠다는 비아냥 속에 출발한 초과이익공유제의 길은 아득하다. 사회주의니 좌파 흉내내기니 하는 험한 소리를 들은 국민연금 의결권 강화 문제 또한 시끄럽기만 하다. 아무리 동반성장, 상생협력을 외쳐도 대답 없는 메아리다.
지옥으로 가는 길은 선의로 포장돼 있다는 말도 물론 귀담아 들어야 한다. 잘해 보자고 한 일이 최악의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치명적인 양극화로 공동체가 붕괴될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비상한 수단을 강구하는 것 자체를 나무랄 수는 없다. 변변한 논의 한번 없이 듣도 보도 못한 대기업 때리기 발상이라며 일거에 내치는 태도가 과연 온당한가. 새로운 관치(官治)의 폐해가 우려된다고 끝간 데 없는 재벌의 탐욕을 방관해선 안 된다. 더불어 사는 지혜야말로 지금 우리에게 가장 절실히 요구되는 덕목이다.
기득권의 성채를 허무는 것은 자기 희생이 전제되는 만큼 쉬운 일이 아니다. 그렇기에 최근 부쩍 활기를 띠는 강남좌파의 움직임에 눈길이 간다. 진보 개혁 성향에 고소득 전문직 종사자인 그들은 기득권을 일부 포기하더라도 무엇이 옳고 그른 일인가 판단해 행동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나는 그들의 정사(正邪) 감각을 온전히 신뢰하지 않는다. 그래도 가진 자로서 자신의 권리를 스스로 내놓겠다니 가상하다. 세상엔 정치가 물구나무서도, 이웃이 하류 인생으로 곤두박질쳐도 안락의자에 파묻혀 나몰라라하는 사람들 천지다. 강남좌파가 부와 권력에 양심과 정의라는 상징 자본까지 갖겠다는 건 무리라는 식의 비판도 없지 않다. 공소한 얘기다. 양심과 정의는 빈부귀천을 떠나 맘껏 누려야 한다. 가진 계층에 양심과 정의가 살아 숨쉬는 것이 오히려 양극화 해소의 희망 아닌가.
지금은 프롤레타리아 혁명의 시대가 아니다. 양극화 해법의 열쇠는 결국 기득권층에 있다. ‘진보의 진보’를 꿈꾸는 진정한 강남좌파라면 이 지점에서 뭔가 선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 상징적 제스처에 머물면 당장 얼치기 댄디(dandy·맵시꾼) 소리를 듣는다. 강남좌파 진영을 이끄는 인사들은 보다 진화된 실천적 진보 담론을 제시해야 한다. 기득권을 버려야 공동체가 산다. ‘기득권타파국민운동’ 같은 것도 괜찮지 않을까. 정치 유혹을 떨치는 게 관건이다. 정치적 욕망의 프레임에 갇히는 순간 진보는 진부의 나락으로 떨어진다. 우리 사회에 삐딱이 정신은 필요하다. 선망과 질시를 한몸에 받는 강남좌파의 날갯짓이 신화 속 이카루스의 허망한 비상으로 끝나지 않기를 바란다.
jmkim@seoul.co.kr
김종면 수석논설위원
소득격차에 따른 계층 간 위화감은 사회통합이 불가능할 정도다. 좌절과 분노로 가득 찬 위험사회에 우리는 살고 있다. 어떻게 양극화의 낭떠러지를 향해 질주하는 폭주 기관차를 멈춰 세울 수 있을까. 먼저 고장난 분배 시스템을 손질해야 한다. 사라진 계층 이동의 사다리를 다시 놓아야 한다. 그러려면 지배적인 기득권 집단부터 나눔의 수범을 보이는 수밖에 없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전망 부재다. 사회주의 용어인지 공산주의 용어인지 모르겠다는 비아냥 속에 출발한 초과이익공유제의 길은 아득하다. 사회주의니 좌파 흉내내기니 하는 험한 소리를 들은 국민연금 의결권 강화 문제 또한 시끄럽기만 하다. 아무리 동반성장, 상생협력을 외쳐도 대답 없는 메아리다.
지옥으로 가는 길은 선의로 포장돼 있다는 말도 물론 귀담아 들어야 한다. 잘해 보자고 한 일이 최악의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치명적인 양극화로 공동체가 붕괴될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비상한 수단을 강구하는 것 자체를 나무랄 수는 없다. 변변한 논의 한번 없이 듣도 보도 못한 대기업 때리기 발상이라며 일거에 내치는 태도가 과연 온당한가. 새로운 관치(官治)의 폐해가 우려된다고 끝간 데 없는 재벌의 탐욕을 방관해선 안 된다. 더불어 사는 지혜야말로 지금 우리에게 가장 절실히 요구되는 덕목이다.
기득권의 성채를 허무는 것은 자기 희생이 전제되는 만큼 쉬운 일이 아니다. 그렇기에 최근 부쩍 활기를 띠는 강남좌파의 움직임에 눈길이 간다. 진보 개혁 성향에 고소득 전문직 종사자인 그들은 기득권을 일부 포기하더라도 무엇이 옳고 그른 일인가 판단해 행동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나는 그들의 정사(正邪) 감각을 온전히 신뢰하지 않는다. 그래도 가진 자로서 자신의 권리를 스스로 내놓겠다니 가상하다. 세상엔 정치가 물구나무서도, 이웃이 하류 인생으로 곤두박질쳐도 안락의자에 파묻혀 나몰라라하는 사람들 천지다. 강남좌파가 부와 권력에 양심과 정의라는 상징 자본까지 갖겠다는 건 무리라는 식의 비판도 없지 않다. 공소한 얘기다. 양심과 정의는 빈부귀천을 떠나 맘껏 누려야 한다. 가진 계층에 양심과 정의가 살아 숨쉬는 것이 오히려 양극화 해소의 희망 아닌가.
지금은 프롤레타리아 혁명의 시대가 아니다. 양극화 해법의 열쇠는 결국 기득권층에 있다. ‘진보의 진보’를 꿈꾸는 진정한 강남좌파라면 이 지점에서 뭔가 선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 상징적 제스처에 머물면 당장 얼치기 댄디(dandy·맵시꾼) 소리를 듣는다. 강남좌파 진영을 이끄는 인사들은 보다 진화된 실천적 진보 담론을 제시해야 한다. 기득권을 버려야 공동체가 산다. ‘기득권타파국민운동’ 같은 것도 괜찮지 않을까. 정치 유혹을 떨치는 게 관건이다. 정치적 욕망의 프레임에 갇히는 순간 진보는 진부의 나락으로 떨어진다. 우리 사회에 삐딱이 정신은 필요하다. 선망과 질시를 한몸에 받는 강남좌파의 날갯짓이 신화 속 이카루스의 허망한 비상으로 끝나지 않기를 바란다.
jmkim@seoul.co.kr
2011-05-14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