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추도 말복도 지났건만 여전히 후텁지근하다. 자칫 몸과 마음이 축 처지기 쉬운 절기다. 그런 터에 고희를 훌쩍 넘긴 선배가 격려 이메일을 보내왔다.
이메일 내용 중 “우리가 앞으로 살아갈 날들 중에서 오늘이 가장 젊은 날!”이란 대목에서 정신이 번쩍 들었다. 과거의 실패에 연연하거나, 미래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에 젖지 말고 당장 오늘 하루를 활기차게 보내라는 권면인 까닭이다.
시사주간지 뉴스위크가 선정한 ‘세계 최고의 나라’ 순위에 한국이 15위에 올랐단다. 이만하면 먹고 살 만한 나라가 됐다는 징표가 아닌가. 그런데도 평균적인 우리 국민이 그다지 행복감을 느끼지 못하는 이유는 뭘까. 방한 중인 미국의 행복심리 전문가 에드 디너 교수의 인터뷰를 보고 궁금증이 조금 해소됐다. 그는 한국인의 낮은 행복감은 지나친 물질주의 때문이라고 진단하면서 “작은 일상에서 긍정적인 것을 인식하는 태도”를 행복의 결정적 요인의 하나로 꼽았다. 노선배의 긍정적 생활철학과도 통하는 얘기였다.
구본영 수석논설위원 kby7@seoul.co.kr
이메일 내용 중 “우리가 앞으로 살아갈 날들 중에서 오늘이 가장 젊은 날!”이란 대목에서 정신이 번쩍 들었다. 과거의 실패에 연연하거나, 미래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에 젖지 말고 당장 오늘 하루를 활기차게 보내라는 권면인 까닭이다.
시사주간지 뉴스위크가 선정한 ‘세계 최고의 나라’ 순위에 한국이 15위에 올랐단다. 이만하면 먹고 살 만한 나라가 됐다는 징표가 아닌가. 그런데도 평균적인 우리 국민이 그다지 행복감을 느끼지 못하는 이유는 뭘까. 방한 중인 미국의 행복심리 전문가 에드 디너 교수의 인터뷰를 보고 궁금증이 조금 해소됐다. 그는 한국인의 낮은 행복감은 지나친 물질주의 때문이라고 진단하면서 “작은 일상에서 긍정적인 것을 인식하는 태도”를 행복의 결정적 요인의 하나로 꼽았다. 노선배의 긍정적 생활철학과도 통하는 얘기였다.
구본영 수석논설위원 kby7@seoul.co.kr
2010-08-2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